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동시에 변하는 일이 가능하다. 즉 B중간자가 반B중간자가 되는 것이다. 이 현상은
일정
한 시간 주기를 두고 반복되며 그래서 이를 진동현상이라 부른다.이 진동현상은 이미 실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 중성 B중간자의 붕괴를 보면 CP 모드라는 특정한 붕괴가 있다. 이 경우에 붕괴가 ... ...
해마다 업데이트 되는 과학행사 일본 도야마 과학축전 참가기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텐데 말이다.그러나 일본의 경우는 이 면에서는 아주 철저하다. 예약이 끝났다거나 오늘
일정
이 끝났다면 두말없이 되돌아선다. 아마 남의 눈을 의식하는,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겠다는 문화의 단면일 것이다.물론 이 문제는 단지 양국의 시민의식 차이로 접근해서만은 안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 ...
3. 신의 결정 거부하는 성전환수술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음경제조에 활용되는 이유는 피부의 두께가 얇고 모양 만들기가 쉬우며 혈관분포가
일정
하기 때문이다. 팔뚝 피부로 요도와 음경을 동시에 만든 뒤 환자의 음부에 위치하는 동맥·정맥 신경에 연결시켜준다. 이때 동맥은 동맥에, 정맥은 정맥에, 신경은 신경에 정확하게 이어줘야 함은 두말할 나위 ... ...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변한다면 편광렌즈다. 태양에서 오는 빛 중 파란색 근처의 빛이 주로 산란되는데 이 빛도
일정
한 방향으로 편광돼 있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또는 자동차표면이나, 액정전자시계를 돌려가며 볼 때, 색의 밝기가 확실히 변하는지를 확인해도 편광 선글라스인지 확인할 수 있다.거울처럼 빛나게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데서는 식별이 어려운 점이 있다. 그리고 편광판과 같은 여러 판을 많이 쓰기 때문에
일정
각도를 벗어난 상태에서 바라보면 잘 보이지 않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TV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화면 크기가 클수록 두께가 매우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최근 들어 일부 발광 고분자가 전기를 흘렸을 때 ... ...
어린아기 눈이 푸른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차이가 나타날까.이 둘의 차이점은 세가지. 공막의 경우 각막보다 교원섬유의 굵기가
일정
하지 않다. 그리고 교원섬유가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지 않다. 마지막 차이로는 공막은 각막보다 수분이 많다. 각막은 건조상태인데 반해 공막은 수분이 65-70% 정도 많다. 둘다 같은 양의 수분이 공급되지만, ... ...
지치지 않으려면 탄수화물 많이 섭취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15% 정도 섭취한 후 70%로 올렸을 때의 축적량이 동일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일정
량의 글리코겐을 체내에 축척하기 위해 꼭 고갈단계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그러나 장기간의 고탄수화물 식이요법은 아직도 확증돼야 할 부분이 있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안내방송이 나온다. 물론 이번 등산의 목표는 올림푸스 정상까지 오르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 산을 오르며 태양계 거봉을 체험하는 것이다. 범수와 하영은 선내에 미리 준비된 등산용 특수 우주복을 입는다. 하영은 산기슭에서 화성의 흙과 돌을 만져보며, 우주복에 딸린 손목시계형 ... ...
불가사의한 별 미라가 밝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참으로 드라마틱하게 밝기가 변화해 대단히 유명하다.미라의 밝기 변화나 주기는 정확히
일정
하지는 않다. 평균적으로 미라의 밝기 주기는 약 3백31일로서 거의 1년에 가깝다. 미라는 밝기 변화 주기가 긴 장주기형 변광성의 표본이다. 현재까지 이같은 유형은 약 4천여개가 발견됐지만 미라처럼 밝은 ... ...
3. 원하는 때에 원하는 곳에서 분해 유산균 장까지 살아가는 비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같은 약물을 먹거나 주사하면 캡슐에 보호된 약은 원하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도달하고,
일정
한 양이 꾸준히 방출됨으로써 장시간 동안 약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약을 감싸는 캡슐 고분자가 분해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서서히 분해가 진행되면서 위를 통과하고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