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30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화로 인한 퇴행성관절염 발병메커니즘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4.04
연골조직에 투여하는 전임상 실험을 했다. 그 결과 miR-204 기능이 억제되면서 관절연골
양
이 증가하고 염증매개인자 발현이 감소하는 등 퇴행성관절염 진행이 종합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퇴행성관절염 치료법을 개발하려면 개나 원숭이 같은 대형동물을 ... ...
“특허·창업은 이제 대학의 주업무, 인식 바꿔야"
2019.04.03
예측했다. 신소재와 사물인터넷(IoT)에 관심을 갖는 그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폐기물
양
을 줄이는 등 구체적인 효과를 내는 데 이들 기술이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 ...
“지식 인플레이션 시대, 대학 역할 바꿔야" 이공계대 총장들 목소리
2019.04.03
대학과 산업, 정부의 3중나선혁신 이론(트리플 헬릭스) 등 대학과 사회, 산업을 둘러싼 다
양
한 분야에 대한 토론과 정책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4일에는 조셉 아운 미국 노스이스턴대 총장은 ‘AI 시대에 성공하기 위한 학습자 교육’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선다. 지영석 엘스비어 회장의지식 ... ...
낙동강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
연간 53t…해
양
유입
양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심원준 해
양
과기원 남해연구소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
2019.04.02
1kg은 이산화탄소 2t에 해당하는데 이는 자동차를 하루 24시간 6개월 동안 몰 때 나오는
양
이다. 또 냉매를 쓰는 냉각기술은 작은 크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냉매를 쓰지 않는 냉각 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 사실 냉매 대신 고체를 쓰는 냉각 시스템은 이미 상용화돼 있다. 이 고체는 ... ...
액체헬륨 가격은 왜 치솟았나…장기화 땐 핵융합·발사체 사업 차질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박제근 부연구단장이 속한 IBS 강상관계물질연구단이 사용하는 월평균 액체 헬륨
양
은 약 2000리터에 달한다. 1년으로 환산하면 2만리터가 넘어 6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셈이다. 강상관계물질연구단 소속 3개 연구그룹 중 박 부연구단장 연구그룹의 경우 최근 액체 헬륨 수급 불균형에 대비해 액체 ... ...
‘뇌를 닮은 컴퓨터’에 쓰일 '뉴로모픽'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나노미터 단위의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고온공정이 필요 없고
양
극과 음극으로 나뉘는 성질이 오래 안정적으로 유지되는데다 기존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던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용화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 소자를 실제로 뉴로모픽 칩에 사용하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해자에 동조하는 사람들
2019.03.30
폭력을 행사하게끔 돕는 발판이 된다. 또한 피해자로 하여금 폭력이 자신의 잘못인
양
자책하게 만들어 본인이 일방적인 폭력의 피해자임을 인지하지 못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가해자의 피해자 비난하기는 폭력을 지속시키고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속박하는 작용을 한다(Dutton & ... ...
'야생동물 천국' 세렝게티, 인간 활동으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세렝게티 국립공원은 미래의 기후변화나 가뭄 등에 훨씬 취약하게 됐다”며 “생명다
양
성을 보전하기 위해 보호구역 경계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시급히 재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셉 오구투 독일 호헨하임대 교수 역시 “세렝게티보다 작은 대부분의 세계 국립공원은 세렝게티 ... ...
北김일성대, 유엔 제재 피해 伊연구소와 신경과학 교류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협정은 과학 외교로써 가치있을 뿐 아니라
양
측에 이익을 준다“며 “북한에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급성장하는 연구 분야에서 성장할 기회를 주고, 우리는 북한이 개방돼 다른 연구기관이 그들을 데려가기 전에 SISSA로 데려오고 싶었다”고 했다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