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볶음밥 요리의 달인?
팝뉴스
l
2019.01.31
사실은 조금 실망스럽다. 실제 볶음밥을 만들고 있는 게 아니다. 파도치는 볶음밥 모
양
의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해서 촬영한 사진이다. 영어권 네티즌들은 속임수를 시원하게 용서하면서 포토샵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가령 볶음밥을 트럼프 대통령의 헤어로 만든 포토샵 작품이 인기가 높다. ... ...
위성은 알고 있었다…'중국이 온실가스 감축에 실패했다는 사실을'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탐지하는 센서를 장착한 이 위성은 지난 9년간 지구를 돌며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양
을 측정해 왔다. 일본은 지난해 10월 이부키 1호 대비 이산화탄소에 대해 8배, 메탄에 대해 7배 정밀도가 향상된 ‘이부키 2호’를 발사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위성 기술이 발달하고 그 수가 늘어나며 감시망이 ... ...
늘었다 줄었다...길이 조절 가능한 전기차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일체형이라 한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 차량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에 유리하고, 모터를
양
끝에 각각 장착할 수 있어 출력도 강하다. 연구팀이 개발한 가변 전기차 플랫폼의 구조. -사진 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형 플랫폼은 하나의 형태로만 제작하면 돼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제작비가 ... ...
이산화탄소 활용한 해수담수화 효율 2배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박 교수는 “높은 온도 조건에서도 시간 대비 많은
양
의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으로, 기존의 가스하이드레이트 기반 해수 담수화 공정의 기술적인 단점을 상당 부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 ...
온수 온도 낮춰 난방배관 파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성능을 5.5배, 열 저장에 필요한 시간을 절반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딱딱한 구슬 모
양
이었던 열 저장 용기를 마이크로 사이즈의 유연한 캡슐 형태로 바꾼 결과다. 또 이런 PCM 캡슐을 활용한 열 수송 원리를 시각화 기술을 통해 검증하는 데도 성공했다. 신 연구원은 “현재는 PCM 캡슐을 이용한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②코딩, 무엇으로 배울 것인가
2019.01.28
스스로의 ‘유니버스’를 만들어가는지 지켜볼 것이다. 코딩 툴 '스크래치'의 고
양
이 캐릭터와 '엔트리'의 봇 캐릭터. 스크래치’ 대신 ‘엔트리’를 선택했다. ※필자소개 김기산. 기업에서 IT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하고 있다.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20년 가까이 리눅스 ... ...
늑대와 싸운 개, 고마워하는
양
팝뉴스
l
2019.01.27
않은 것 같다. 사진 설명에 따르면 늑대가
양
을 공격을 했는데 개가 물리쳤다고 한다.
양
은 자신을 구해준 개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인공강우가 미세먼지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아니라 실제 대기 질 개선을 위해 대량으로 요오드화은을 살포할 경우 떨어진 비가 토
양
을 오염시키거나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국립기상과학원 관계자는 “해외에서 인공강우의 주목적은 비를 내릴 수 있는 구름이 있을 때 강우량을 늘리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주류 ... ...
[표지로 읽는 과학]하와이 킬라우에아 분화가 남긴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마을 덮쳐 총 35.5 ㎢(평방킬로미터) 지역을 삼켜버렸다. 연구팀은 용암이 흘러내린
양
과 칼데라의 지반 침하 정도가 0.8 k㎥로 서로 유사했다는 관측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중앙의 화구가 아닌 기다란 열극을 통해 화산이 분출되는 것을 뜻하는 ‘열극 분출’과 산 정상의 칼데라 붕괴가 연관이 ... ...
“잠 모자라면 치매 빨리 온다”
2019.01.25
등 퇴행성 질환의 발병을 막는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를
양
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확인한 영상이다. 윗부분이 아밀로이드베타 농도가 높은 부위. 미국국립보건원(NIH) 제공 치매도 전염될 수 있다 존 콜린지 영국 런던칼리지대 신경학과 교수 연구팀은 타우와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