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비메모리 반도체인 시스템반도체는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로직 칩으로, 팹리스에서 설계해 파운드리에서 제조하며···’ 시스템반도체에 대한 설명을 ... 있는 시스템반도체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협력할 수 있도록
전
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출신이다. 현재는 미국 실리콘밸리 우주 관련 스타트업 로프트 오비탈(Loft Orbital)에서
전
략기획 및 국제협력 담당으로, 미국 워싱턴대 공대에서 자문위원 및 겸직교수로 일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우주인으로서 열정과 사명감을 갖고 우주산업 시대에 맞춰 과학 대중화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이렇게 연습장만 있으면 연구실을 떠나 어디서든지 함께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각 분야
전
문가들이 만나서 연구하면 어려운 문제도 서로의 지식을 합쳐 순식간에 해결하기도 합니다. 이 논문에서 증명한 768이라는 색의 수가 최솟값일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 연구 역시 최솟값을 찾으려고 노력하지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왼쪽편에 칼을 둬요. 그러면 샌드위치는 0:100으로 분배된 상태가 되죠. 이번엔 칼을 완
전
히 오른쪽에 가져갑니다. 그러면 샌드위치는 100:0으로 분배된 상태예요. 이제 칼을 천천히 움직여 빵 위 어딘가에서 방향을 맞추고 칼의 각도를 기울여 봅시다. 아마 수많은 경우의 수를 움직이다 보면 50:50으로 ... ...
[실
전
! 반려동물] 금붕어가 삐딱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몸 형태의 변화는 몸속 기관들의 위치도 바꿔 놓았어요. 그래서 금붕어는 이
전
과는 다른 질병에 취약해졌지요. 몸이 동그란 오란다나 툭눈붕어 종에서 자주 나타나는 ‘부레병’도 그중 하나예요. 금붕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어류는 풍선처럼 부풀었다 쪼그라드는 공기주머니 부레로 상하운동을 ... ...
우주에 가면 천천히 늙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지구에서 생활한 마크보다 14.5% 늘어난 사실을 확인했다. 스콧이 우주로 떠나기
전
둘의 텔로미어 길이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스콧의 장내 미생물에도 변화가 생겼다. 장내 미생물은 신체 대사뿐만 아니라 뼈, 근육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단백질 및 지방을 분해하는 피르미쿠테스(후벽균·Firmicutes)가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부위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고, 비트박서를 포함해 다양한 분야에서
전
문 음악가의 발성을 조사하는 데도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실시간 MRI 기술이 아직 목소리를 시각화하는 수준은 아니다”라며 “향후 구강 내부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가 계속 축적되면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사람마다 각기 다른 목소리로 발음을 하게 된다. 인간이 침팬지와 분리된 약 600만 년
전
부터 인간의 뇌와 발성 기관은 진화를 거듭했다. 직립보행으로 성도가 확보되고, 혀를 움직여 말을 하게 되면서 뇌에서는 새롭게 신피질(Neocortex)이라고 부르는 영역이 확장됐다.
전
교수는 “신피질을 통해 ... ...
[로보트 재권V] 사물인식에 음식인식까지 심부름 시켜보자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로봇이
전
기에너지를 주된 에너지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전
기에너지를 담기 위한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다음 호에서는 어떤 배터리를 선택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한재권. 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 ...
[수학뉴스] 처음으로 포착한 블랙홀의 그림자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그림자를 사진으로 담은 셈입니다. 이번 결과는 유럽과 남미, 남극 등
전
세계 8곳에 있는
전
파망원경을 동시에 가동해 얻은 성과입니다. 2017년 4월 8곳의 망원경이 10일 동안 동시에 같은 블랙홀을 관측해 지구만 한 크기의 망원경으로 관측한 효과를 냈습니다. 이때 관측한 4100테라바이트(TB)가량의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