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숙주의 입장에서 보자면 '비자기(非自己)'다. 바이러스는 숙주의 면역기구와 함께 짜여
지지
않으면 안되는 운명이다. 바이러스가 숙주의 면역기구와 조합되는 방식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면역기구에 대한 '싸움'이고 또하나는 면역기구와의 '공존'이다.감기를 일으키는 아데로바이러스와 ... ...
TGV, 탈선사고로 오히려 안전도 입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원인은 대개 부실공사 또는 근무자의 미숙련이나 불성실이다. 이런 것들이 먼저 고쳐
지지
않으면 그 좋다는 TGV도 '거적문에 돌쩌귀'일 것이다. TGV사고는 우리에게 큰 교훈을 준 셈이다 ... ...
수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새로운 착시도형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사물을 입체적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지 등은 생활주변에 있는 일이면서도 아직 밝혀
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이번에 발견된 착시그림이 전문가 사이에서 큰 주목을 얻고 있는 것은 착시현상을 수학적으로 설명했기 때문이다. 그림에 나타난 작은 점은 평행사변형의 정점이지만, 실제로는 큰 원의 ... ...
마름모꼴 바퀴달린 화성탐사차 제작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손쉽게 통과하는 능력을 선보였다.마름모꼴 4개의 바퀴 구조는 3개의 바퀴로 몸체를
지지
하고 남은 하나의 차바퀴로 장애물 구멍의 모양을 탐지하는 센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화성탐사차는 모두 6개의 바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4개 바퀴가 가능하다면 우주개발의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목성은 태양계내의 행성들중 가장 크지만 초보자가 보는 목성의 표면은 그리 크게 느껴
지지
않는다. 계속적인 관측을 통하여 숙련자가 되어야만 표면 무늬의 자세한 모양을 제대로 관측할 수 있다. 올 7월 슈메이커-레비혜성이 목성에 충돌하게 되면 표면 무늬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그때까지 ... ...
PART.1 CD-ROM, 이렇게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ROM이란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약자로서 제작과정에서 기록된 내용이 영구적으로 지워
지지
않게 처리된 디스크를 의미한다. 띠라서 이 디스크에 들어있는 내용을 지우고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으며 단지 입력돼 있는 내용을 읽어볼 수만 있을 뿐이다.그러므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읽기와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때는 우주인에 의해 직접 작동되는 망원경이 제안되었다. 1970년대 초반 우주 망원경의
지지
자들은 당시 NASA가 유인 우주선에 열광해 있던 것에 편승해서 우주왕복선의 승무원들에 의해 조작되는 망원경을 디자인하였다. 그 당시 NASA에서 우주유영 전문가로 활동하던 무스그레이브는 이 계획의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잡종강세가 있다고.그러나"동물에서는 메추리와 닭,닭과 꿩 등에서 가끔 교배가 이루어
지지
만 닭과 꿩의 경우는 염색체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빈도가 낮다"는 게 정일정 박사의 말.서울대 자연대 분자생물학과 김원(동물분류학)교수는 이같은 인위적인 교배는 정규적인 분류학에서는 큰 의미가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회생제동:견인전동기의 전기자의 역토크를 이용해 제동력을 얻는 방식* 대차:차체를
지지
하고 궤도 위를 주행하는 데 필요한 전동기. 브레이크 장치 및 차륜 등을 구비한 차* 현가장치:차대(車臺)의 프레임에 차륜을 고정함과 노면에서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완충장치* 스프링하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운명을 조절·보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알을 조정란이라 하며, 이는 후성설을
지지
하는 증거가 된다.사람의 일란성 쌍생아는 1개의 수정란이 난할의 2세포기에 서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된 개체로 발생된 것이다. 따라서 사람의 난자도 조정란이라 할 수 있다.조정란도 발생이 진행되면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