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뉴스
"
거리
"(으)로 총 5,259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우월성 달성하고 블랙홀 찍고…BBC가 뽑은 올해 대단한 스토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26일(현지시간) 시커모어를 비롯해 올 한 해를 뒤흔든 과학과 환경 분야의 대단한 이야깃
거리
(big stories) 8가지를 선정해 발표했다. 지난 4월 세계 전문가 300여 명으로 이뤄진 국제공동연구팀은 전 세계 6개 대륙 8개의 대형 전파망원경을 연결한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을 이용해 지구로부터 550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하나의 초점으로 하는 타원궤도를 따라 움직인다. 그렇다면 행성과 태양 사이에는 그
거리
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것이 바로 만유인력의 법칙에서 핵심이 되는 역제곱의 법칙이다. 나아가 뉴턴은 구심력이 역제곱일 때 물체의 운동이 타원이나 포물선, 쌍곡선 같은 원뿔곡선임을 ... ...
새해 초 밤하늘 수놓는 유성우쇼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일몰시각인 오후 5시 17분 후 서쪽에서 목성과 토성이 0.1도로 근접한다. 이 둘의
거리
가 너무 가까워 마치 붙어있는 것처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정도의 대결합은 근 20년만이다. 내년 가장 큰 보름달은 4월 8일 월몰 직전인 오전 6시24분 뜬다. 반대로 가장 작은 보름달은 10월 31일 보름달이 될 ... ...
반도체 기반 양자컴퓨터 현실화 한층 가까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것을 처음 보인 것이지, 이를 이용해 얽힘 상태를 구현한 것은 아니다"라며 "실제로 장
거리
얽힘 상태를 반도체에서 구현하는 것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미래에는 밀집한 큐비트 수십~수백 개가 한 단위(양자노드)가 돼 이 안에서는 인접한 큐비트 사이의 직접 상호작용을 ... ...
에교협 "월성1호기 영구정지, 과기계 노력 무시한 참을 수 없는 모욕"
동아사이언스
l
2019.12.25
판단될 경우 영구정지를 결정한 원안위 위원들에게 법적인 문제가 없는지도 논란
거리
다. 이런 이유로 탈원전 반대 진영에선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수명이 남은 월성1호기를 조기에 영구정지 시켰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에교협은 “월성1호기 영구정지 의결은 법과 제도를 철저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맨 뒤, 좌우 양 끝 줄의 학생들은 1미터
거리
에 세 명이 있다. 모서리에 선 네 명은 1미터
거리
에 두 명이 있을 뿐이다. 얼음도 마찬가지다. 결정을 이루는 물분자 대부분은 전후좌우상하에 다른 물분자가 존재하지만 표면에 놓인 물분자는 반쪽이 공기다. 그 결과 결정 내부의 물분자보다 꽤 ... ...
'실패했어도 칭찬해'…민간최초 달착륙 시도 올해를 달군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이후 한 세기만에 이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베레시트와 달 표면과의
거리
가 22km일 때 스페이스IL이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스페이스IL 제공 마틴 리스 영국왕립천문학회 펠로우는 스페이스IL이 발사한 베레시트의 소식을 올해의 과학뉴스로 꼽았다. 베레시트는 무인(無人) 달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연구성과 '블랙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없었다. 관측에 성공한 M87과 지구와의
거리
만 해도 5500만 광년(1광년은 빛이 1년 가는
거리
로 약 9조4600억㎞)이 떨어져 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성공한 블랙홀 촬영을 올해 과학계를 뒤흔든 최고의 연구 성과로 선정했다. EHT 연구팀은 블랙홀 촬영을 위해 아타카마 패스파인더 ... ...
올 과학계 최대 사건은 '블랙홀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블랙홀의 모습을 공개했다.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 5500만 광년(1광년은 빛이 1년 가는
거리
로 약 9조4600억㎞) 떨어져 있으며 질량은 태양의 65억배에 이른다. 관측에는 아타카마 패스파인더(APEX) 등 전 남극, 안데스산맥 등 전 세계 8곳에 있는 전파망원경 8개를 총 동원한 가상 망원경 ‘EHT’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을 극복하는 방법 '기본연구비'
2019.12.19
공정하게 작동하기 힘들다. 연구비 동료평가는,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계의 큰 골치
거리
다. 과학자들이 파벌이나 이너써클을 만들고, 자신의 제자 혹은 학연에 있는 이들만 골라 지원하는 행태는 이미 오래되었고 잘 알려진 과학계의 비리다. 동료평가로는 연구비는 물론 논문 또한 공정하게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