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뉴스
"
외부
"(으)로 총 3,47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탄 ‘장소세포’, 공간 지각에도 관여한다
2015.05.04
확인했다. 구터스텀 박사는 “몸이 공간상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인식하는 능력은
외부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꼭 필요하며, 인간의 자기 인식의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이라며 “장소세포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공간 속에서 몸의 위치를 인식하는 일에도 ... ...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04.29
길이가 약 2m 정도이며 몸무게는 최대 700kg인 헤비급 파충류다. 몸집이 워낙 크다 보니
외부
로부터 받은 열에너지가 몸 안에 축적돼 마치 항온동물처럼 체온을 유지시킨다. 이렇게 외온성 변온동물이 몸집으로 체온을 유지시키는 성질을 ‘거대항온성 또는 관성항온성’이라고 한다. 박진영 ... ...
화재 시 ‘에어커튼’만 쳐도 대피 시간 10분 번다
2015.04.29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대피로를 확보하지 못하게 만든다. 결국 화재로 인한
외부
화상은 물론 일산화탄소와 연소 물질을 들이마시면서 흡입 화상을 일으켜 사망률을 높인다. 2003년 발생한 대구지하철 참사 희생자 192명도 대부분 흡입화상으로 피해를 입었다. 연구진은 상점에서 냉·온기를 ... ...
“시끄러운 바다에서는 돌고래도 목소리 높여”
2015.04.26
돌고래의 경우 에너지 균형을 맞추려고 더욱 노력할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는 배나 다른
외부
환경에 의한 소음이 돌고래의 성장과 개체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다. 범고래를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에서도 주위 소음이 고래의 생태를 방해한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 ...
해법 없는 ‘사용후 핵연료’ 처리… 고리원전 2016년부터 포화
동아일보
l
2015.04.24
중인 원전 23기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는 매년 750t. 처분 방식이 정해지지 않아 원전 내
외부
임시 저장수조와 건식 보관용기에 쌓아두고 있다. 내년 고리원전(부산 기장군)부터 포화가 시작된다. 저장 간격을 촘촘하게 하거나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다른 발전소로 일부를 옮기는 ‘확장공사’를 ... ...
피부에 붙여 실시간 진단하는 ‘무선 스마트 센서’
2015.04.22
센서는 투명한데다 반으로 접거나 최대 2배까지 잡아당겨도 성능이 변하지 않는다. 특히
외부
안테나에서 쏜 전파를 이용해 작동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필요 없다.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살 때 물건에 찍힌 바코드를 읽어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것처럼 단백질 종류와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그래핀 ... ...
면역세포도 ‘착한’ 미생물 편만 들어
2015.04.22
장내에 있는 면역세포가 장내에 평상시 살고 있는 미생물에게는 치명적이지 않지만
외부
에서 침입하거나 낯선 미생물에게는 치명적인 물질을 분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물질은 항생제와 유사한 물질로, 장내에 살고 있는 유용한 미생물은 이 항생제에 대항할 수 있는 유전자를 갖고 있어 ... ...
“가장 효과적인 금연정책은 담뱃갑 경고그림-광고 규제”
동아일보
l
2015.04.21
편의점 969개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2.5%(606개)의 편의점에서 담배 광고가
외부
에서도 쉽게 볼 수 있게 배치돼 있었다. 편의점 밖에서도 쉽게 볼 수 있게 담배를 진열한 곳도 59.3%(575개)나 됐다. 담뱃갑 못지않게 세련되고 멋있는 디자인과 모델들을 담고 있는 담배 광고는 청소년들에게 ... ...
손가락 꺾을 때 ‘두두둑’ 소리 나는 이유 찾았다
2015.04.19
그 순간 두둑 소리가 났다. 활액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소리가 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에서 공기가 밀려들어오면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 연구진은 손가락 관절을 꺾는 버릇이 있다고 하더라도 관절에 크게 무리가 가지 않을 것으로 추정했다. MRI를 분석한 결과 관절이 벌어지면서 관절에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신호를 이용해 온몸의 기관들과 뇌를 연결하는 세포. ‘뉴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부
에서 주어지는 자극을 뇌로 전달하고, 반대로 뇌의 명령을 몸 곳곳으로 전달한다. 실제 아인슈타인의 뇌.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뇌를 과학의 마지막 미개척지이자 인체 속 우주라고 부른다고? 아주 마음에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