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동
촉발
조장
자극
격려
고무
유인
뉴스
"
유발
"(으)로 총 3,41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려운 곳, 긁을수록 더 가려운 이유는?
2014.10.31
밝혀졌다. 연구팀은 먼저 세로토닌을 만들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쥐에게 가려움을
유발
시켰다. 그러자 이 쥐들은 가려운 곳을 긁기는 했지만 세로토닌을 정상적으로 분비하는 쥐에 비해 가려운 곳을 많이 긁지 않았다. 하지만 세로토닌을 외부에서 주입하자 이 쥐들은 정상 쥐만큼이나 ... ...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위험? 전문가 “한국선 적용 어려워”
동아닷컴
l
2014.10.30
이끈 칼 미카엘슨 교수는 "우유에 함유된 갈락토오스가 오히려 산화스트레스와 염증을
유발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산화스트레스는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 양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으로 세포 노화를 일으키고 면역체계를 약화시킨다. 연구진은 다만 이번 연구는 '인과관계를 입증한 게 ... ...
야식이 비만·당뇨를
유발
하는 이유
2014.10.26
동아일보DB 제공 불규칙한 식생활이나 야식, 잦은 해외여행 등으로 생체리듬이 깨지면 비만이나 당뇨에 걸리기 쉽다고 알려졌다. 이스라엘 연구진이 그 원인이 장내미생물의 생체시계가 함께 깨지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에란 엘리나브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 박사팀은 사람이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내 똥배는 정말 밀가루 때문일까?
2014.10.26
축적을 촉진하는 인슐린 분비량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부터 복부지방이 내분비계 교란을
유발
하고, 정신병과 심장병 환자들에게 밀을 제거한 식단을 처방했을 때 회복 효과가 더 커진다는 사실도 담았다. 이쯤 읽고 나면 밀가루는 먹어서는 안 되는 불량식품 중의 불량식품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 ...
과학자들 “설탕 첨가된 청량음료 자주 섭취땐 DNA 노화 촉진”
동아일보
l
2014.10.21
주도한 UCSF의 엘리사 에펠 교수는 "설탕을 넣은 탄산음료를 수시로 마시는 행위는 질병
유발
에 영향을 준다. 체내의 당 관련 대사 조절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세포조직의 노화를 가속화 해 각종 질병 발병에 영향을 끼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당뇨병과 심장병 전력이 없는 20세부터 65세 ... ...
활성산소 손은 약손?
2014.10.14
건강 프로그램에서 ‘공공의 적’으로 불리는 활성산소. 흔히 노화와 암 등을
유발
한다고 알려진 활성산소는 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호흡과정에서 발생해 DNA와 RNA, 단백질 등을 손상시킨다. 활성산소를 잘 없앤다는 점에서 브로콜리, 블루베리, 레드와인 등은 대표적인 항산화식품으로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된 방사성 물질이 야생동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기형을
유발
한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BMC 진화 생물학' 24일자에 발표됐다. 조지 오타키 일본 류큐대 교수팀은 나비에게 방사성 물질인 세슘에 오염된 먹이를 먹였더니 수명이 짧아지거나 날개 모양이 달라진다는 ... ...
‘괜사’ 조인성 앓는 ‘조현병’ 원인 밝혀졌다
2014.09.16
유전자 묶음 8개가 서로 다른 유전자 배열 42가지를 만들어 조현병의 다양한 증상을
유발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개별 묶음 자체는 조현병을 나타내지 않지만 서로 상호작용해서 증상이 나타난다는 점은 이제껏 학자들이 추측하던 것과는 전혀 다른 결과다. 연구진은 이 같은 유전자 ... ...
암 성장 막는 골칫덩이 단백질 막는 신약 찾았다
2014.09.15
미국 콜로라도대 교수 - 콜로라도대 암센터 제공 미국 공동연구팀이 암 성장을
유발
하는 골칫덩이 단백질의 활성을 막을 수 있는 신약의 단초를 찾았다. 활성화 된 Ral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는 Ral 단백질은 폐와 췌장, 전립선 등에 발생한 암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이 ... ...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세포가 삐뚤어져요
2014.09.12
착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세포에 ‘탑시가르긴’이라는 스트레스
유발
물질을 넣고 배양한 뒤 정상 그룹과 비정상 그룹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 비정상 그룹에 속하는 세포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그룹에서는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메신저 RNA(mRNA)와 단백질을 만드는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