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머리카락으로 습도재기
과학동아
l
199411
색깔을 바꿔가면서 눈금을 표시해 보세요.습도가 높은 날은 빨대가 아래로 내려가고
반대
로 습도가 낮은 날은 빨대가 위로 올라갈 것입니다. 이는 머리 카락이 습도의 높낮이에 따라 늘어나거나 당겨지기 때문입니다. 안개가 많이 끼는 유럽지방의 여성들은 자신의 머리카락을 만져보며 그 날의 ... ...
[3] 궂은 날 지병 악화, 기의 인체 영향 때문
과학동아
l
199411
조그만 소리가 들려도 달아나고, 특히 조류는 멀리 볼 수 있고 또 세밀하게 볼 수 있다.
반대
로 돼지의 꼬리가 짧은 것은 양기가 부족하고 안으로 움추리는 음기를 많이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 역시 같은 이유로 소라 새우 멍게 해삼 우렁 조개 등의 동물들은 감각기관이 발달되어 있지 못하고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11
상승률이고 물가 상승률을 적분하면 물가 그래프가 된다. 앞에서 말했듯이 미분 적분은
반대
의 관계인 것이다.자동차 주행 거리와 속도의 관계를 생각해 보자. 주행 거리를 미분하면 속도가 된다. 속도를 한번 더 미분하면 가속도라는 값이 나온다. 가속도는 속도가 증가하는 비율이다. 물리학에서 ... ...
다이아몬드, 한반도서 나올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10
하나의 큰 대륙이 둘로 갈라져
반대
방향으로 계속 대륙이동을 하게 되면 이들은 다시
반대
편에서 만나게 되어 새로운 하나의 대륙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지구표면이 둥글기 때문에 필연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갈라진 대륙사이에 만들어진 해양지각이 나이를 먹음에 따라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10
산업화 이래, 세계는 고속화 대형화 산업화 사회로 치달으며 고에너지 사회를 구가했던
반대
급부로 고엔트로피의 거대한 분수령에 이르렀다. 수렵사회(수백만년)-농경사회(수천년)-근대산업사회(수백 년)를 거쳐, 이제 화석 연료의 고갈과 오염으로 인한 막다른 고비에서 새 시대는 산업후 사회(post ... ...
화학- 전기, 두 금속 접촉·산화할 때 생긴다
과학동아
l
199410
알았다.이후 독일의 과학자인 요한 빌헬름 릿터(1776-1810)는 1798년에 볼타의 전기접촉설에
반대
해 전기 화학설을 제창했다. 그는 두 금속이 습한 상태에서 접촉하면 그 한쪽이 단독적으로 존재할 때보다 빨리 부식되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전기적인 현상이라고 해석했다.그는 단순한 금속의 접촉이 ... ...
1 한번쓴 자원, 원상회복 안된다
과학동아
l
199410
계(system)가 평형상태 또는 안정된 상태로 되려 할 때 엔트로피는 증대된다. 이와
반대
되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으며 자연계의 현상은 반드시 엔트로피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그러므로 열역학 제 2법칙에 따르면 우주 삼라만상은 질서가 있고 가치가 있는 상태로부터 무질서하고 가치가 없는 ... ...
태즈메이니아의 비극
과학동아
l
199410
희생자를 낸 살륙행위로는 나치스의 유태인 대학살(Holocaust)과 함께 소련의 정치적
반대
자 숙청을 들 수 있다. 공산혁명의 마무리를 위해서 11년간(1929-1939) 소련정부가 동족을 무더기로 죽인 것이다. 1백만명 이상 학살된 사례로는 스페인 사람들이 저지른 서인도제도의 인디언 몰살(1492-1600)과 ... ...
"오존 측정 잘못됐다" 색다른 주장
과학동아
l
199409
통제에 의한 것임을 밝힌 것이었다.그러나 많은 환경운동자들은 싱어 박사의 결론에
반대
하고 있다. 그들은 연구자들이 적어도 60년대 초부터 잠재적인 혼동 가능성에 대해 이미 알고 있었다고 공박한다. 더글라스 파라는 그린피스 회원은 특히 "한지역에서의 결과를 전세계적인 경향으로 추론하는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
과학동아
l
199409
인정하는 교회의 정책과 정면으로 충돌을 일으키게 돼 1616년 코페르니쿠스의 학설을
반대
하라는 교회의 압력을 받게 됐다(그림4). 갈릴레이는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그의 맹세를 직접적으로 위반하지는 않기 위해 세사람이 대화하는 형식을 취해 1632년 '두가지 주요 세계의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