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6,4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02
같은 동물에다 암세포에만 있는 항원을 넣으면 항체가 생기는데, 동물의 항체를 인체에
직접
쓰면 부작용(과민성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그래서 동물에서는 항원을 표적으로 삼는 항체의 끝부분만 취하고, 나머지는 대장균에 사람 유전자를 넣어 합성한 인간항체를 쓴다. 물론 아예 처음부터 ... ...
당신도 '프로슈머'입니까?
과학동아
l
200702
손수 제작한 콘텐츠를 가리킨다. UGC(User-GeneratedContent) 역시 UCC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자가
직접
만든 콘텐츠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UGC보다 UCC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쓴다. 그런데 구글에서 UGC와 UCC를 검색하면 UGC(205만건)가 UCC(25만7000건)보다 10배가량 많다.사용자 참여형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02
반지름과 높이가 수십km인 이 불덩이는 100~1000분의 1초만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고 한다.
직접
보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우주에서 잠을 자는 경험은 어떨까. ISS 내부가 팬이나 기계장치가 작동하는 소리로 시끄러워 걱정을 많이 했는데, KAIST 이덕주 교수가 개발한 우주귀마개 덕분에 잘 잤다. 얼굴 ... ...
시들해진 마음에 불을 질러라
과학동아
l
200702
처음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대박을 노리거나 유행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복권을
직접
사본다. 로또 열풍 역시 그런 심리적 요인 때문에 일어났다. 실제로 로또가 처음 발행된 뒤 약 15~25주까지는 굉장한 열풍을 일으켰다.그러나 그 열기가 서서히 식으며 로또 판매량은 일정한 수준으로 수렴했다 ... ...
놀이가 영재가 되는 지름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2
도넛 모양이 만들어지지요.‘안개 타는 그녀’는 이 신기한 안개를 보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타 보자는 아이디어에서 만든 놀이기구입니다. 이 모둠의 홍지은 친구(신월초등학교 3학년)는“안개도넛 장치의 원리를 이용하면 공중부양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 라며 즐거워했답니다. 안개를 ... ...
21세기형 만능 공장 디지털 팩토리
과학동아
l
200702
연구자들이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곧 이런 한계를 극복할 겁니다.앞으로 ‘물건을
직접
만들어야 한다’는 아날로그방식에서 벗어나 ‘시뮬레이션으로 물건을 먼저 만들어본다’는 디지털방식으로 생각하는 건 어떨까요?”가상공장의 진화2005년 4월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하노버 페어 2005’의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02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값이 각기 정해진 확률로 계산된다 1685~1731 영국의 수학자 I 뉴튼의
직접
후계자 그는 이것을 미분방정식을 푸는 데 활용했으며, 현(弦)의 진동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를 했다테일러의 저서에 있는 것은 x=0인 경우에 해당하고, 오늘날「매클론린의 정리」라고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02
똑같은 출력물이 나오는 상황과 비슷하다.수술 전 촉각 장비로 환자의 수술부위를
직접
만지면서 수술계획을 세우기 때문에 수술 성공률이 획기적으로 높아질 뿐만 아니라 수술 시간도 상당히 단축된다. 이런 워드프로세서 형 수술로봇이 등장할 날이 머지않았다. 암치료의 절대무공, ... ...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702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론적 분해능을 얻기란 쉽지 않았다.동그란 베텔기우스의 모습을
직접
찍은 사진은 1975년이 돼서야 나왔다. 미국 키트피크 천문대의 158인치 마얄 반사망원경은 이미지 증폭기와 최신 이미지 프로세싱 시스템을 활용해 베텔기우스의 맨 얼굴을 담아냈다.이달의 천문현상2월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02
부총장과의 공동연구는 달랐다. 두 사람은 필요한 부분에서는 분야를 나눠 연구했고,
직접
연구자들이 오고가며 실험을 하고 세미나도 열었다. 그동안 주고받은 e메일만 해도 셀 수 없을 정도다.제 교수는 “후 박사가 지도교수인 마가리톤도 부총장을 부를 때 ‘헤이~ 조르지오’라고 합니다.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