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입체구조에 있다. 적혈구 속에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이 들어 있다. 헤모글로빈
가운데
는 철(Fe) 원자가 끼어 있어 산소와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아주 복잡하고 미세한 구조로 돼 있는 헤모글로빈은 산소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는 3차원 구조가 변하면서 철 원자와 결합하고 있던 산소분자를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새로운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기본 아이디어는 회전. 컵에 물을 넣고 숟가락으로 저으면
가운데
가 오목하게 패이면서 소용돌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숟가락으로 말고, 그냥 컵을 회전시킨다면 물의 표면은 어떤 모양이 될까. 이것이 바로 포물면이다. 점성이 없는 낟알이나 액체를 ... ...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한다. 바닥이 원형이거나 정사각형일 경우에는 각 변에 경사판을 설치해 자연스럽게 한
가운데
서 그 끝을 모아 모지붕을 만든다. 하지만 바닥이 길쭉한 사각형일 경우에는 한점에서 만나지 않고 다양한 조합이 가능해진다.맞배지붕은 직사각형의 긴 변에만 앞뒤로 경사판을 설치해, 옆에서 보면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먼지 뒤에 숨어있던 별들이 많이 나타난다. 특히 가장 큰 기둥 안에 있던 붉은 별
가운데
일부가 알 속에 든, 몸집이 작은 태아별로 확인됐다.독수리성운은 생명이 깃든 비옥한 곳이다. 하지만 성운 근처 별무리에서 내리쬐는 강렬한 자외선으로 보금자리가 드러났다. 태아별이 성운 속에 계속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존재는 새로운 이론의 존재를 암시했다. 새 이론은 M이론이라 불린다. 또 여분의 차원
가운데
적어도 1차원이 1mm 정도(끈이론에서는 거대한 규모)로 클 가능성이 제기됐다.끈이론(M이론)이 제기하는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 우리우주를 포함한 거대한 전체 우주를 상상한다. 우리우주는 5차원의 공간에 ... ...
3가지 빛깔의 과학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마인드’는 수학자 존 내쉬의 삶을 그린 것이다. 존 내쉬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
가운데
하나인 내쉬 균형 이론을 창안한 천재 수학자다. 이 영화는 뉴욕타임즈 기자 실비아 네이사가 쓴 같은 이름의 책을 원작으로 한다. 7백쪽이 넘는 엄청난 두께의 번역서를 집어드는 순간 고민이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작동시킬 수 있다.현대인은 전해질로 봤을 때 아주 특이한 동물이다. 인간은 포유동물
가운데
유일하게 칼륨보다 나트륨을 많이 먹는다. 나트륨을 많이 먹는 이유는 소금(염화나트륨)의 과다섭취 때문이다. 그리고 나이가 들면 동물은 혈압이 떨어지지만,현대인은 평균혈압이 오히려 올라간다. 반면 ... ...
2천년 전해온 목조건축의 꽃 공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기둥 위에는 물론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는 것을 다포식 공포라고 한다. 또한 주심포식
가운데
특히 첨차의 수를 대폭 줄이고 그 형태를 간략하게 새날개 모양으로 다듬은 것을 익공식 공포라고 한다.이 세가지 형식이 가장 기본적인 것이고 이들의 변형이나 잡종이 드문드문 발견되는 것이 한국의 ... ...
광고냐 쓰레기냐 스팸메일 비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또 초·중·고생의 70%가 일주일에 한번 이상 광고성 스팸메일을 받고 있으며, 이 스팸메일
가운데
음란메일의 비중이 절반에 달해 청소년들조차도 스팸메일의 폐해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오늘날 전자우편을 사용해 기업문서를 전달하는 비중이 80%에 이른다는 통계가 있듯이,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관측할 때는 행성처럼 보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행성상 성운에서는 고리
가운데
에 밝은 백색왜성이 빛난다. 개미성운에는 백색왜성이 어디에 있을지 한번 찾아보자. 개미의 머리와 몸통이 연결되는 지점을 보면 밝은 별이 하나 눈에 띈다. 바로 이 별이 백색왜성이다. 개미성운으로 변신하기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