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음성 인식 AI에 꼭 필요한 너! 삼각함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효율적이어서 산업적으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도 2017년 11월 출시한 AI스피커 ‘카카오미니’를 시작으로 휴대용 AI스피커처럼 사용할 수 있는 음성 인식 컨트롤러 ‘미니링크’, AI스피커 ‘미니헥사’ 등 음성 인식 AI를 적용한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개발하고 ... ...
- [매스미디어] 하나의 세계, 두개의 미래 시지프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시간 여행의 비밀을 알게 된 태술까지 단속국에 쫓기는 신세가 되는데…. 도대체 2020년의 대한민국에는 어떤 거대한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수학으로 옥에 티 찾기! 비행기 사고의 진상을 파헤치던 태술은 비행기에 부딪힌 것이 자신의 형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말도 안 되는 상황에 충격을 ...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개미는 여전히 기존의 긴 경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989년 12월 국제학술지 ‘자연과학’에 발표했습니다. 양성 피드백이 비효율적인 결과를 이끌어내기도 하는 것이죠. 더 나아가 오드리 듀스투어 프랑스 폴사바티에대학교 연구원은 먹이까지의 거리와 걸리는 ... ...
- 수학자에게 물었다! 엉덩이는 한 개인가, 두 개인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엉덩이 개수는 왜 묻냐고요? 당연히 엉덩이는 한 개 또는 두 개라고 생각했다고요? 2020년 11월부터 시작된 엉덩이 개수 논란이 5개월 지난 지금까지도 결론 나지 않았습니다. 명확하기로 소문난 수학을 이용해 알쏭달쏭한 이 문제의 답을 찾아볼까요? 논란의 시작은 2020년 11월, 아이돌 그룹 ... ...
- [하비맨] 물멍, 나도 해볼까? 마리모 보면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하고, 이때 만들어진 산소 기포로 인해 부력이 생기기 때문입니다.마리모 키우기는 3년 전쯤부터 한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키우는 것이 어렵지 않고 모양이 귀여워서 지금도 사람들이 꾸준하게 찾는다고 해요. 마리모는 물고기가 사는 어항을 허전하지 않게 장식하는 효과도 줍니다. 촉감은 ... ...
- 코로나19도 막을 수 없는 열정 마스크 쓰고 파이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생각이 들었거든요. 공부하는 시간을 뺏긴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냐는 질문에 3학년 최서영 양은 “물론 입시 준비를 해야 하는 부담도 있지만, 즐거워서 하는 일이었기 때문에 학습 시간 외에 쉬는 시간과 잠자는 시간을 아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성현, 이예찬 수학 교사 역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없이도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이 가능하다는 것을 직접 보여준 펜로즈 타일링 덕분에 1980년대까지만 해도 엉터리 실험으로 취급받던 고체 물질의 준결정 구조가 실존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습니다. 이 발견의 주인공인 이스라엘 재료과학자 댄 셰흐트만 교수는 2011년 노벨 화학상을 ... ...
- [기획] 소리를 전시하다, 연출가 강신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하나하나씩 번역해가며 독학했다”며 음향 기술이 매섭게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십수 년 전만 해도 이 프로그램을 돌리면 컴퓨터가 느려져서 대부분의 작업은 ‘오류와의 싸움’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영화나 드라마에 사용되는 높은 퀄리티의 음악도 DAW로 손쉽게 작업이 가능해졌다. 기술을 ... ...
- [만화뉴스] 비가 안 와 반도체를 못 만든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때문입니다. 대만의 6월에서 9월은 비가 많이 오는 ‘우기’인데, 지난해 이 기간에는 2019년보다 비가 48.6% 적게 내렸어요. 그런데 대만의 가뭄 소식에 전 세계 IT 회사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반도체 공장 ‘TSMC’를 비롯한 수많은 반도체 공장이 대만에 있거든요. 반도체 공장은 ... ...
- [특집] STAGE 2 쇼미더투표! 투표 결과는 과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투표 방법은 없다는 걸 증명한 학자가 있습니다. 미국의 경제학자인 케네스 애로가 1951년 연구에서 수학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애로의 불가능 정리’라고 부르는 이 연구로 애로는 197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답니다. 그럼 세상 모든 투표는 무효인 걸까요? 그럴 리가요. 주민들이 대화와 토론을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