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CD 표면에 펼쳐진 아름다운 무지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CD 표면에
빛
을 쬐면 아름다운 무지개가 생겨요. CD 표면에 무지개가 생기는 이유는
빛
이 물결처럼 파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에요 ... 그 결과 CD 표면에 무지개가 생긴답니다. CD 표면에 물방울을 뿌리고 이쪽 저쪽에서
빛
을 비추며 관찰해 보세요. 더 멋진 무지개를 볼 수 있을 거예요 ... ...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 색 바꾸는 비밀 밝혀져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어둡게 보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물방울이 구멍을 모두 막으면 등에서 모든 파장의
빛
이 흡수돼 검은색으로 보인다. 라사트 교수는“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의 이런 구조를 이용하면 습도에 따라 색깔이 바뀌는 습도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자극받는다. 마치 정상인이 앞을 볼 때 시신경세포가 활성화된 것 같은 효과가 난다.
빛
이 수정체와 유리체를 거쳐 굴절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카메라가 찍은 영상을 시신경이 바로 받아보는 시스템이다.연구팀은 2001년 12월부터 시각장애우 자원자 10명에게 실리콘고무 재질의 망막자극용 16채널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금속판 등의 지지체 위에 아크릴 단위체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여기에
빛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약간의 안트라퀴논류, 또 열중합 반응 방지제인 히드로퀴논을 넣어 05mm 정도 두께로 칠하여 접착시켜 감광층을 만든다 네거티브 필름을 밀착, 감광한 다음 현상액으로 씻어내고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전문가와 협의해 한국에서 작품을 복원했답니다.목재 등 가볍고 약한 부분을 복원할 때
빛
을 발하는 건‘파라비드 비72’라는 아크릴 계열 접착제랍니다. 보통 접착제는 시간이 지나면 누렇게 변하는데, 이 접착제는 누렇게 변하는 정도가 매우 적은데다 맑고 투명해서 붙인 흔적이 잘 보이지 않는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활발히 반응하는 불안정한 성질을 띠고 있다. 리튬은 작은 수분에도 강력히 반응해
빛
과 열을 발산한다. 이런 독특한 성질 때문에 리튬을 전지에 사용할 때는 이온상태로 주입한다. 금속보다는 이온 상태가 상대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이다.전지 내부에 채워진 유기전해물질도 또 다른 위험요소다. ... ...
도시의 목덜미에 떨어지는 굵은 빗방울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먹구름 한 장이 머리 위에 와 있다. 갑자기 사면이 소란스러워진 것 같다. 바람이 우수수 소리를 내며 지나간다. 삽시간에 주위가 보랏
빛
으로 변했다. 산을 내려오는데 ... 고적운 안에 분포한 얼음입자나 과냉각된 물방울에 의해 태양광선이 굴절되며 복숭아색이나 푸른색으로
빛
난다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성도를 갖고 나가 사진을 찍어 보자. ISS는 매우 밝지만 도심에서 사진을 찍으면 가로등 불
빛
때문에 30초 정도 노출을 해도 하늘이 노랗게 나온다. 따라서 되도록 시골처럼 깜깜한 곳에서 사진을 찍는 편이 좋다.ISS가 하늘에 나타나기 전에 구도와 노출시간을 미리 정한다. 감도(ISO)는 400, 조리개(f)는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바로 플라스마다. 일상생활에서는 형광등 유리관 안의 플라스마, 즉 유리된 전자가
빛
을 내는 원동력이다.국가핵융합연구소는 고온의 플라스마를 융합시켜 막대한 에너지를 만드는 핵융합발전소를 짓는다는 원대한 목표를 갖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발전소가 가동되려면 해결해야할 난제가 많아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진동수가 변하는 현상 1842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J C 도플러가 이중성(二重性)의
빛
에 관하여 별의 운동방향과 색의 변화를 연구하던 중 처음 발견했다 멘델의 유전법칙의 하나 2쌍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할 때 각 쌍의 유전자 분리 · 재결합이 서로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일어난다는 법칙이다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