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뉴스
"
수상
"(으)로 총 3,583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4] 모험과 자율성에 다 걸어라
2015.04.20
막스플랑크연구소는 ‘노벨상 사관학교’로 불린다. 1911년 설립 이후 100여 년간 노벨상
수상
자만 34명을 배출했다. 이는 단일기관으로는 세계 최대 기록이다. 막스플랑크연구소는 과학자 연구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으로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막스플랑크연구협회의 ... ...
[프리미엄 리포트 2] 한·중·일 3국 논문 수 비교해보니
2015.04.20
과학자들은 논문 45편에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노벨과학상
수상
자를 배출한 적이 없는 중국의 연구자는 43편의 논문에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또 학술지 네이처에 대한 기여도는 중국-일본-한국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에 대한 각국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수치인 WFC ... ...
[‘만능 치료제’에 다 건 日] 유도만능줄기세포 임상 최전선, 고베 이화학연구소 르포
2015.04.17
iPS세포)를 좋아합니다. 2012년 야마나카 신야(山中伸彌) 교토대 교수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한 일이 ‘터닝 포인트’가 됐죠.” 8일 일본 고베 시 남쪽 인공 섬 포트아일랜드에 있는 이화학연구소(RIKEN) 발생·재생과학종합연구센터(CDB)에서 만난 다카하시 마사요(高橋政代) 그룹리더는 “일본 ... ...
[사이언스 브리핑] 화학硏, 신물질 제초제 테라도 공동연구 外
2015.04.16
스마트폰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 즉시 HD 화질로 TV를 볼 수 있다. ETRI측은 이번 기술혁신상
수상
에 따라 TV 송출시장에서 국제 표준 선점을 기대하고 있다. 허남호 ETRI 방송시스템연구부장은 “차세대지상파방송 표준인 ATSC 3.0 에서도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 받아 최종 표준으로 채택될 것으로 ... ...
‘2014 서울 세계수학자대회’ 해단식 열려
2015.04.16
참석했으며, 117년 역사상 최초로 여성 수학자가 ‘수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
하는 등 숫한 화제를 남겼다. 특히 학생과 교사 등 일반 대중 2만1227명이 억만장자 수학자인 제임스 사이먼스의 대중 강연과 수학 영화 상영 등 각종 수학문화 행사에 참가해 수학 문화를 활성화하는 ... ...
한국인 첫 日 이화학연구소(RIKEN) 종신 주임연구원
2015.04.10
관여한다. 최근 이화학연구소는 12년 만에 소장을 교체했다. 200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
한 노요리 료지(野依良治) 교수가 물러나고 교토대 총장 출신인 히로시 마츠모토(松本紘) 교수가 신임 소장으로 임명됐다. 마츠모토 소장은 교토대 개혁에 힘을 기울였던 인물로 이화학연구소가 설립 100주년을 ... ...
[미래를 듣는다 4] “독일 통일, 우리 실정에 맞춰 적용해야”
2015.04.06
통일 뒤 겪는 후유증이 만만치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면서 “당시 헬무트 콜 독일
수상
은 장밋빛 미래만을 제시했지만 전혀 다른 길이 펼쳐졌다”고 지적했다. 김 전 총리는 “독일은 힘든 과정을 모두 극복하고 축구도 1등을 하는 등 (사회의) 모든 부분에서 균형 잡힌 국가로 역사상 최고의 ... ...
[SW가 미래다 1] “소프트웨어는 창의성 위한 훌륭한 도구”
2015.04.03
성균관대가 개최한 ‘융합 모바일앱 공모전’에서 창의대상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을
수상
한 김현지 씨(21)는 과학교육 전공자다. 이공계 대학생이긴 하지만 스스로 소프트웨어에는 문외한이라고 생각했다. 김 씨가 개발한 앱은 ‘얼굴 작곡가(Face Composer)’. 카메라가 얼굴 표정을 인식해 ... ...
天地 밑 10km 지점 마그마 가득… 수년 째 ‘
수상
한 움직임’
2015.04.02
“백두산 현지 탄화목(화산재에 불탄 나무 화석)을 분석한 결과 백두산은 1076년 전인 939년 대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분석 결과는 일본의 역사 기록과도 정확히 일치합니다.” 홍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자원분석실장은 지난달 23일 제주 제주시 삼도동 오션스위츠호텔에서 열 ... ...
30년 만에 풀린 ‘철사 단백질’ 의 비밀
2015.03.27
단단히 묶인다. 이 과정을 밝혀낸 미국과 독일 연구자 3명은 201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했다. 스네어(SNARE) 단백질이 풀어지는 모습. - KAIST 제공 문제는 이들을 풀어야 할 때다. 스네어 단백질을 계속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꼬여 있는 ‘철사 단백질’을 풀어야 하는데, 30년간 그 과정이 밝혀지지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