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
곱
d라이브러리
"
2배
"(으)로 총 5,40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
과학동아
l
200203
길이 10μm(1㎛=${10}^{-6}$m), 지름 75nm(1nm=${10}^{-9}$m)인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가 개발됐다고 지난 2월 7일자 ‘네이처’가 보고했다. 이 정도의 길이는 머리카락 두께(약 1백μm)보다 약 10배 가늘다. 따라서 인간의 눈에는 이 온도계가 단지 보일듯 말듯 할 정도로 작은 점일 뿐이다.이 온도계는 나노과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03
하루 대변은 4백g으로, 1백g인 서유럽인보다 4배나 많다. 서구인은 변의 장내 체류 시간이
2배
나 길어 딱딱하게 굳은 변을 본다. 하지만 아프리카인은 똥이 술술 잘 나온다.한국인이 처음 서양인의 똥을 보고 놀랐듯이, 서양인도 아프리카인의 큰 똥에 놀랐다. 영국 의사 데니스 버킷이 바로 그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03
금성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1980년 이후 새로운 탐사방법이 사용됐다. 미국과 옛소련에서 레이더 관측과 풍선 탐사 방법을 동원해 금성의 베일을 벗겼다. 이들의 성공 뒤에는 좌절과 실패를 넘어선 숨겨진 이야기들이 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옛소련이 개발한 베네라 탐사선의 잇따른 착 ... ...
2. 영양만점 자연식 소화편안 조리식
과학동아
l
200203
육식 채식 논쟁과 더불어 또 하나의 고민거리는 그냥 먹을지 조리해 먹을지의 선택 문제다. 수많은 조리법이 등장하고 있는 현대의 식생활. 인간이 식품을 조리해서 먹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형태의 식품을 섭취해야 할까. 인간의 식품은 생물종의 체계 속 ... ...
차세대 메모리 칩 제조하는 나노과학
과학동아
l
200203
미국의 대표적인 과학잡지‘사이언티픽 어메리칸’은 지난해 과학기술 10개 분야의 최고 이슈 50가지를 선정했다. 이 중 물리학에서 6가지가 선정됐는데, 그 첫머리를 장식한 세부분야가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였다.생소한 명칭에도 불구하고 이토록 중요하게 받아들 여지는 스핀트로닉스는 과연 ... ...
절개수술 없이 신장결석 제거
과학동아
l
200203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부마취를 한다.타원은 고대 그리스에서 정육면체의 부피를
2배
로 만드는 작도 방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발견됐다. 당시 타원은 단지 수학자들의 지적인 유희의 대상이었을 뿐이다.그러나 케플러가 행성의 궤도가 타원임을 발견하면서부터 점차 인간의 생활에 유용하게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02
냉동인간, 대륙간 탄도 미사일, 초전도 자기부상 열차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물질이 있다. 바로 냉동액체다. 극저온의 영역으로 들어가기 위해 냉동액체는 필수적이다.냉동액체가 열어준 극저온 세계를 체험해보자.만물의 비밀을 풀기 위해 과학자들은 우주가 갖는 한계를 뛰어넘는 환경을 실험실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02
과학을 무기로 글을 쓴다면 어떨까. 아마도 허무맹랑한 얘기가 아니라 실현가능한 상상력을 담을 수 있지 안을까. 과학 글쓰기로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을 길러보자.세상에 공짜는 없다. 그냥 얻는 것은 없다는 말이다.나서부터 천부적인 글재주를 부린단 말인가. 직업소설가조차도 책 한권을 내기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2
빛으로 1.6년이나 걸리는 길이를 갖는 개미가 우주공간에 그려진 사연은 무엇일까. 태양이 남길 최후의 자취일지도 모른다는 슈퍼개미의 비밀을 만나보자. 우주공간에 개미가 산다면 어떤 모습일까. 그렇다고 개미 외계인을 상상한다면 너무 지나친 비약이다. 개미를 닮은 성운에 관한 이야기 ... ...
1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02
미래에는 동전보다 작은 초소형 기기들이 지금의 거대 장치를 몰아낼 전망이다. 초소형 제조기술, MEMS가 발전돼 여러 분야에 응용되면서 말이다. 그런데 MEMS는 반도체칩의 공정과정에서 비롯됐다고 한다.혈관에 삽입된 초미세 로봇이 인체 내 환부를 찾아 손상된 세포를 복원하는 영화 속 얘기 같은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