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넘어섰다는 평가다.한국은 서울대 유전체의학연구소가 아시아인의 게놈을 분석하는
국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테라젠은 게놈데이터를 분석해 맞춤의학 정보를 알려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엔 삼성의료원도 맞춤의학에 시장에 뛰어 들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내다 봐야 하는 ‘미래를 위한’ 기술이다. 지난 10월 한국을 방문했던 모토지마 오사무
국제
핵융합실험로(ITER) 사무총장은 한국형 표준 원자력발전소와 비슷한 1000MWh(메가와트)급 핵융합로가 지어지려면 앞으로 최소 30년은 지나야 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황 교수 역시 이 사실을 부정하지 ... ...
기억 속에 남는 아름다운 수학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수학적 지식을 기초로 한 문제보다는 수학적인 사고로 풀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매년 다른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 출제경향이나 예상문제는 없습니다. 문제 출제자는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아름다운 수학문제를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모든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분야에서
국제
적인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었다. 정부로부터 ‘젊은 과학자상’을 받았고,
국제
광공학회와 미국 광학회에서 석좌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연구할 소재도 한참 남아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 주제를 확 바꾼다는 것은 위험했다. 주변에서도 만류했다.하지만 이 교수의 마음은 ... ...
교육 선진국 스웨덴·핀란드 교사단, 한국에서 한 수 배우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테오얀센 전과 함께 전시되고 있는 4D프레임 구조물을 본 뒤, 제4회 4D수리과학대회
국제
심사위원으로도 참가했대. 한국에서의 모든 일정을 마치고 스웨덴으로 돌아간 벡은 기자에게 e메일을 보내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알려 줬어.“짧은 일정이었지만 즐거웠습니다. 앞으로 저는 스웨덴을 비롯한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루이스 벡터 앨리스는 흑이 유리하다는 사실을 컴퓨터를 이용해 보였습니다.따라서
국제
대회에서는 흑과 백이 서로 동등한 조건에서 경기할 수 있도록 오목의 게임규정을 바꿔왔습니다. 처음에는 앞에서 소개한 것처럼 흑이 33, 44, 6목 이상을 두면 진다는 규정을 넣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해도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평화상에서 1917년을 포함해 20번이나 수상자 선정이 없었다고 발표했으나, 1917년에는
국제
적십자가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만약 노벨 수학상이 있었다면?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 노벨상이 최고의 상인가?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단백질체 학술지 ‘프로테오믹스’ 9월호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과학기술부의
국제
공동연구사업비로 3년간 매년 8000만 원을 지원받은 이 연구에서 박 박사와 유 박사는 1500여 개의 단백질을 찾아냈다. 참여한 20개의 연구팀 가운데 가장 많은 수였다. 박영목 박사는 “처음에는 다른 나라의 ... ...
응급구조, 인공호흡보다 흉부압박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의식과 호흡이 없는 응급환자를 살리기 위해 실시하는 응급구급법(CPR)은 인공호흡과 흉부압박 두 단계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인공호흡을 능숙하게 할 수 ... 높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됐다”며 “새로운 흉부압박법을 보급하기 위해
국제
적인 합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는 나라도 노벨상을 기념할 자격이 있다는 생각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과학 연구에서
국제
공조와 협력, 그리고 해외 진출이 보편화된 현실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논란과 도전의 중심이 되다올해 노벨 과학상의 또 다른 특징은 수상한 과학자와 분야가 과감하다는 점이다. 우선 물리학상의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