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학생들이 스스로 통계 주제를 정할 수 있도록 했다. 프로젝트는 총 4차례 수업에 걸쳐 진행하는데, 첫 수업에서는 모둠별로 통계 주제와 모둠원 각자가 맡을 역할을 정한다. 두 번째 수업에서는 미리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반으로 자른 전지나 PPT에 통계 포스터를 만든다. 남은 두 수업에서는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하지만 실패 판정에 대한 연구자들의 거부감이 매우 크다. 처음 계획한 대로 순조롭게 진행되는 연구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실패할 위험이 있지만 성공했을 때 영향력이 큰 연구에 도전하지 못하게 만든다.지난 8월 28일에는 불성실 실패 판정으로 연구비 환수 조치를 받은 연구자가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무척 중요하다. 이곳 역시 김 연구원이 없으면 삽핵과 같이 세심한 기술이 필요한 과정은 진행할 수 없다.학생들이 실습한 삽핵은 진주조개의 생식소에 진주가 될 핵(조개 껍질을 뭉쳐 동그랗게 만든 것으로 마치 구슬같이 생겼다)을 삽입하는 과정이다. 핵이 성공적으로 들어가면 진주조개는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인간다운 표정은 이런 교감에 필수다.어쩌면 로봇이 요리 주문을 받거나, 뉴스를 진행하거나, 심지어 물건 가격을 흥정해서 파는 상황이 머지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때는 로봇에게 ‘사람이 아니라는 표시’를 꼭 해야만 하는 법이 생기지 않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장 인간적인 ...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많은 생명들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어요.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바다와 숲에 사는 많은 생명들이 살 곳을 잃고, 생명다양성도 줄어들고 있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사라 프레이 박사팀이 오래된 숲이 지구온난화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숲은 중앙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풀 수 있지만, 떠오르지 않으면 언제 풀릴지 알 수 없다. 영재교육원과 고등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R&E 문제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R&E 문제는 짧으면 몇 주, 길면 몇 달에 걸쳐서 교사와 교수의 도움을 받아 풀 수 있는 문제다. 결과가 좋으면 수학자처럼 논문을 낼 수 있다. 크라우드 매스에 ... ...
- [소프트웨어] 나 잡아봐라! 두더지 잡기 앱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구멍 밖으로 머리를 쑥 내밀었다가 잽싸게 땅 속으로 들어가려는 두더지를 맞히는 ‘두더지 잡기 게임’을 아시나요? 두더지가 머리를 맞으면 “아야, 왜 때려!”라고 말했던 기억이 나네요. 이번 호에서는 제한 시간 안에 두더지를 잡아 점수를 내는 두더지 잡기 게임을 만들어 봐요!오늘의 미션198 ...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오늘은 체육 시간에 축구 경기를 하는 날이다. 드디어 내 발 앞에 공이 왔고, 야심 차게 골대를 향해 슛!~을 날렸지만…. 안타깝게도 축구공은 골대 위를 훌쩍 넘어가 버린다. 둥그런 탓일까? 축구공은 저 멀리까지 떼굴떼굴 굴러간다. 그런데, 축구공이 겉보기에만 구라고?겉모습만 구인 축구공?학교 ...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벌 주는 자리가 아니라, 잘 한 연구자를 상찬하는 자리니까.여러 해 노벨상 관련 기사를 진행하면서 느낀 게 있다. 한국은 아직 노벨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나라라는 냉정한 현실이다. 한국은 해외 선진국에서 유행하는 과학을 배워와 국내 젊은 학생에게 전파하는 데 대부분의 자원을 투자할 수밖에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파티에 참가한 아이들에게 맛있는 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눠주려고 합니다. 물론 수학을 사용해서 말이지요. 매우 쉬운 문제 같지만 사실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누구는 초콜릿이 있는 부분을 좋아하고, 다른 누구는 딸기가 올라간 부분을 좋아하는 등 취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공평하다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