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묘사
말씨
말
표시
서술
발상
말투
d라이브러리
"
표현
"(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비가환(순서를 바꾸면 결과가 달라지는) 게이지 대칭성약력이나 전자기력은 그 힘을
표현
하는 결합상수가 충분히 작아서 이 값을 중심으로 급수전개(섭동론)가 가능하지만 강력의 경우 그 결합상수가 아주 커서 섭동론을 적용할 수 없다특정한 게이지 군에서 게이지 변환을 하더라도 주어진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반면 비서술정보는 때로는 고된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얻어지지만 기억 내용이 정확하게
표현
되고 기억할 때 의식이 필요하지 않다.어린 시절 사고로 뇌가 손상된 후 심한 간질을 앓던 한 캐나다인은 뇌의 양쪽 측면인 내측두엽을 절개하는 수술을 받았다. 그의 지능지수(IQ)는 수술 전과 큰 차이가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외모가 결국 좋은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표식인 셈이다.남성이 흔히 볼륨있다고
표현
하는 섹시한 몸매의 여성을 좋아하는 것도 이와 비슷하게 성호르몬의 표식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가슴이 큰 여성은 원활한 수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손을 더 건강하게 키울 수 있다. 또 남성이 쉽게 매혹되는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인간 복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는 현상을 ‘이상한 침묵’이라고
표현
했다. 물론 세계 최초로 한국의 과학자들이 복제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얻어내 미국 등 과학선진국들의 찬사와 러브콜이 쏟아졌으므로 한민족의 자긍심이 한껏 고양될 만도 하다.사실 선진국의 관련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행동을 삼가하라”고 충고했습니다. 말하자면 콩깍지가 벗겨져 상대의 허물이 보여도
표현
은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그는 위기에 처한 부부들에게 앞서의 충고를 실행하는 대화프로그램을 시작한 지 며칠만에 3분의 2 이상이 상황이 호전됐으며, 9주 동안 지속했을 때는 75%가 관계를 회복한 것으로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선배들을 찾아가 광학까지 배워가며 열심히 연구했고, 생물들의 모습을 더욱 잘
표현
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궁리했다. 게를 찍을 때는 갯벌에 구덩이를 파고 그곳에 드러누워 앵글을 게와 같은 눈높이에 맞춰 사진을 찍었다. 그의 사진은 이렇게 온몸을 던져 찍은 것이기에 박제된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여겨지고 있다어떤 실체의 성질을 설명하는 것이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것들의 성질로
표현
가능하다는 주장 예를 들어 사람의 유전자의 구조를 알면 인간의 성격과 질병을 모두 설명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배추, 젓갈, 고춧가루의 맛과 향기를 다 안다고 해서 그것을 재료로 해서 ... ...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데이빗 해리슨 교수는 “우리는 여러 언어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언어에 따라 세상을
표현
하고 이해하는 방식이 상당히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며 “따라서 언어의 소멸은 인간의 뇌가 보여주는 다양한 인지구조를 이해하는데 공백을 낳는다” 고 말했다.그러나 현재로서는 언어의 멸종을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뜻한다 즉 1ppm=${10}^{-4}$%이다 미량의 기체를 분석하거나 검출한계를 수적으로
표현
할 때 흔히 쓰인다단순히 집단을 이뤄 사는 일반적인 사회성 곤충과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 이들은 자기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집단 생활을 유지한다 개미나 벌이 대표적 예다자음과 모음을 합해 글자를 만드는 결합 ... ...
빛의 변화에 따라 위치
표현
하는 광마우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볼마우스와 광마우스의 차이점볼이 굴러가는 방향과 회전수를 인식하는 볼마우스는 표면과 직접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고장이 잦다. 반면 빛을 이용하는 광학센서는 표면에 닿을 필요가 없어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좋다. 또한 광마우스는 다양한 표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볼마우스와 달리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