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답게 편역(!)한 듯 보여지는데, 이는 지향하는 목적이 같기 때문일 것이다.어떤 것이든 '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식의 해석도 가능하겠지만 이보다는 사용자들이 더욱 친숙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있어야 한다는 과제와 좁은 화면에서 여러 종류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야 한다는 두가지 ... ...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때는 심각한 방해물이 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즉 화석증거물에 따르면 익룡은
하늘
에서는 매우 민첩한 비행자였으나 기어다닐 때는 지상에서의 박쥐처럼 어색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이들은 또 자신들이 연구한 날개막 화석이 한때는 털의 잔유물로 여겨졌으나, 지금은 익룡 날개의 ... ...
달에 먹힌 처녀자리 스피카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가을철의 별자리들이 추위에 몸을 움츠리는 사이 오리온과 황소 등 겨울철의 용장들이 힘차게 솟아오른다.■ 처녀자리 알파성 스피카 ... 자신이 가을밤의 주인인 양 천구의 적도를 가로지르며
하늘
의 넓은 영역을 차지하며
하늘
높이 오르고 있다. 1일 : 오후 9시15일 : 오후 8시30일 : 오후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긴 축의 1/2을 a로 하면 T²과 a³이 비례한다.뉴턴은 지상에 작용하는 갈릴레이의 법칙과
하늘
에 작용하는 행성의 운동 법칙을 미적분학을 통해 하나로 통일해서 설명했으며 마침내 이론 물리학의 창시자가 됐다 ... ...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천문학회에서는 전국 공개 관측회를 개최합니다. 많은 사람들의 동경인 먼
하늘
천체들과 태양계의 행성을 망원경으로 직접 관측하여 우주의 신비를 조금이나마 가까이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고자 합니다.□ 대상:초중고 대학생 및 일반인 누구나□ 일시:1994년 11월 18일(18시-21시)□ 장소서울:대학로 ... ...
물리- 분자, 질량 작을수록 빨리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고무풍선의 실이 끊어져 올라가는 고무 풍선이 자꾸 커지면서 결국은 터지게 되는 것도
하늘
로 올라갈수록 압력이 낮아져서 부피가 커지기 때문이다.결국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의 비례하게 되며 이를 보일-샤를의 법칙이라고 한다. 따라서 기체의 부피를 늘리려면 압력을 작게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있는 아름다운 붉은 꽃이다. 우리나라 중부 설악산과 대암산 등에 나는 비로용담은 짙은
하늘
색으로 싱싱하고 풍부하게 분포돼 있다.산매발톱 구름국화 산용담 손바닥난초 염주황기 두메분취 들쭉 린네풀 돌꽃 오리나무더부살이 등도 7월에 볼 수 있는 아름다운 백두산의 고산꽃밭 식물들이다.2천 ... ...
우주정거장 여행 10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커다란 네모난 통은 별무게를 느끼지 않는다.우주복을 입고 밖으로 나가면 새까만 밤
하늘
에 점점이 박혀있는 별들을 보게되며 커다란 사파이어 처럼 빛나는 지구가 황홀한 광경을 만들어줄 것이다. 지구 너머로 태양이 떠오르는 장관을 보게될지도 모른다.우주유영이 끝나서 다시 우주정거장으로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침투해(?) 훌륭히 관측을 마쳤다. 장소 선정을 위한 답사를 두번씩이나 해, 울산의 밤
하늘
을 대표할 수 있는 지역을 고르느라 애를 먹었다. 울산 공단 중심으로는 들어가지 못했지만 공단지역을 외각에서 촬영한 사진도 함께 보내왔다. 한가지 흠이라면 모기와의 전쟁을 치르느라 가이드 도중 망원경 ... ...
수학의 난제 π값 계산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자와 컴퍼스만을 택했으며, 동양(중국)의 기본적인 도형은 원과 정사각형이었다.
하늘
은 둥글고 땅은 정사각형(天圓地方)이라 했다. 한글에 ○과 □이 있는 것도 같은 이유다.수학사상 가장 오랜 난문(難問)의 하나가 '원과 같은 넓이를 갖는 정사각형의 한변을 구하는 것(圓積問題)'이다. 그것은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