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개인"(으)로 총 4,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05.21
- 이름을 올릴 수도 있다. 우주먼지 헌터가 되고 싶은 사람은 이름과 나이, 소속, 개인 현미경 보유 여부나 학교 현미경 사용 가능 여부를 적어 6월 15일까지 이메일(hsr@donga.com)로 보내면 된다. 학교나 동아리 등 단체의 신청도 가능하다. 문의 (02)3148-0823 ● 더 읽을거리 in 과학동아 31년 기사 ... ...
- [때와 곳 6] 철도역: 배웅과 마중의 살가운 현장2017.05.20
- 초점을 맞춘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그 ‘시간’은 오래되어 역사의 범주일 수도 있고, 개인 과거의 추억일 수도 있고, 당장 오늘일 수도 있고, 훗날의 미래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장소’는 우리가 생활하는 바로 ‘이곳’입니다. 그곳은 우리가 늘 일상의 공간에서 발 딛고 서 있는 ... ...
- [ESC의 목소리 (13)] 정당한 발명자에게 적절한 보상을!2017.05.20
- 약 20만원의 보상을 받았다. 한국의 기업도 대부분 출원과 등록에 따른 일괄보상을 한다. 개인이 발명한 특허를 기업이 소유하기 위해 법이 강제하는 조치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특허로 기업이 수익을 얻었을 경우이다. 법에서는 정당한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가 ... ...
- [구글 I/O] 머신러닝의 시대, 구글은 무엇을 노리나2017.05.19
- 때와 똑같은 기기지만 1년 사이에 완전히 다른 수준의 기기로 진화했다. 게다가 개개인의 하드웨어가 해야 하는 일은 별로 없다. 뒤에서 머신러닝이 만들어주는 무형의 역할들이 기기의, 또 서비스의 가치를 완전히 새로 만드는 셈이다. 결국 구글이 긴 키노트를 통해 세상에 준 메시지는 이전과 ... ...
- [써보니] 아이패드를 바라보는 애플의 새 전략 '가격'2017.05.16
- 키보드, 그리고 확실한 성능은 아이패드에 손을 내밀 만한 명분을 충분히 마련해 주었다. 개인적으로도 아이패드 프로를 컴퓨터만큼이나 업무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키보드와 펜이 모든 아이패드가 받아들여져야 하는 운명은 아니다. 아이패드 프로는 결국 기존과 다른, 혹은 ... ...
- 1984와 인공지능 감시사회동아사이언스 l2017.05.14
- 집중됐지만 오늘날 우리의 디지털 정보는 여러 기업과 정부 기관에 분산됩니다. 개인정보는 엄격하게 관리되고, 프라이버시를 지키려는 감시 활동도 활발합니다. ● 기술이 우리를 지배하게 방치하지 말자 무엇보다 우리는 편의와 즐거움을 위해 기꺼이 텔리스크린을 용납하고 있습니다. 앞서 ... ...
- [카드뉴스] 감기약을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동아사이언스 l2017.05.14
- 생겨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과도한 양의 카페인 섭취도 문제입니다. 약은 개인 상황에 따라 효과와 부작용이 조금씩 다릅니다. 자주 찾는 약의 성분과 역할을 알고 있다면 좀 더 자신에게 맞는 약을 고를 수 있겠죠. - 참고: 과학동아 2012년 07월호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 ...
- [때와 곳 5] 펜션: 단합의 집2017.05.13
- 초점을 맞춘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그 ‘시간’은 오래되어 역사의 범주일 수도 있고, 개인 과거의 추억일 수도 있고, 당장 오늘일 수도 있고, 훗날의 미래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장소’는 우리가 생활하는 바로 ‘이곳’입니다. 그곳은 우리가 늘 일상의 공간에서 발 딛고 서 있는 ... ...
- 299달러, 마이크로소프트의 MR 헤드셋 써봤습니다2017.05.12
- 지금은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에이서와 HP 제품만 구입할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공개된 제품들 중에는 에이서보다 HP의 제품이 디자인적으로 나아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두 제품의 하드웨어 조건은 완전히 똑같습니다. 아무래도 이 해상도와 시야각, 그리고 기본적인 구조와 프레임워크는 ... ...
-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05.12
- 사이트와 개인 메신저를 통해 정보가 유통되는데, 포털 업체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개인 메신저의 정보는 수집하기가 불가능하죠. 인터넷 신조어 사전도 없습니다.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팩트 체크 인공지능 기술은 주로 데이터 수집이 용이한 트위터를 대상으로 연구가 많이 돼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