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6,184건 검색되었습니다.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06
초기 단계지만 차츰 MP3플레이어에도 휴대전화처럼 화면이 생길 것이고 이 때 화면의
크기
는 분명 한계가 있겠지만 화소수 만큼은 황의 법칙을 따른다는 것이다. 디지털 발전 속도 빨라져디지털 세계는 관성의 법칙이 지배한다. 외부에서 방해하는 힘이 없는 한 진행 방향으로 계속 발전한다. 발전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06
온도, 대륙의 눈 덮힘이나 에어로졸, 심지어 온실가스와 같은 다양한 인자들이 극 진동의
크기
를 바꾼다.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적도지역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대류활동이 열대에서 중위도에 걸친 대기 순환의 변화를 유도한다. 여기서 생기는 중위도의 대기파동이 극 진동의 장, 단기 변동을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06
피를 모아 심장으로 보낸다는 결론을 내렸다. 심장을 들어가고 나가는 혈관들의 구조와
크기
가 대칭일 뿐만 아니라 동맥을 통해서 전달되는 피의 양과 여기에 걸리는 시간을 생각하면 그 많은 피가 모두 어디론가 사라지고 계속해서 피를 새로 만드는 일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알아챘다.하비는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06
이 우수하여 지붕 · 연통 · 간판 · 전기기계 등에 사용된다아연은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크기
때문에 아연도금철판 표면의 아연이 조금 벗겨져 철이 노출되어도 전기화학적으로 내부를 보호한다 주기율표 제2B족에 속하는 아연 · 카드뮴 · 수은의 세원소의 총칭 셋이 모두 지각(地殼) 중의 존재량은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06
아주 작은 패턴을 가공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가공이 가능한 박막의 두께와 패턴의
크기
가 점차 물리적 한계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10년 정도는 무어의 법칙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집적도가 증가할 수 있지만 결국 언젠가는 멈추게 될 것이다.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06
왼쪽 귀로 소리가 전달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때 오른쪽과 왼쪽 귀에 도달하는 소리
크기
의 차이로 소리가 오른쪽에서 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다.이와 같은 분석이 내이에서 직접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내이에서 소리 정보의 차이를 뇌간에 위치한 상올리브핵과 뇌간 위에 있는 하구로 ... ...
더해도 똑같은 직사각형의 마술
과학동아
l
200506
물론 이 상황은 상식적으로도 수학적으로도 말이 안 된다. 조각을 덧붙였는데 똑같은
크기
가 나올 수는 없는 일이니까. 물론 그 불가능한 일을 해 보이는 것이 바로 마술이지만.우선 9번 조각을 넣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2번과 3번 사이에 9번을 끼워 넣는다(a). 미스터 마릭은 손으로 3번 조각의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06
그대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제작한 대표적인 작품이 연구실 한쪽에 서 있는 1m 남짓한
크기
의 이순신 장군 동상이다. 각종 모형이나 3차원 지형도 등을 만드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해 준다. “미국 러쉬모어산의 대통령 얼굴상도 원형 그대로 만들어 부천 아인스월드 테마파크에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06
켜고 끌 수 있다. 무어의 신화는 계속되는가? 불투명하다. 2010년이 되면 트랜지스터의
크기
를 줄이는 기술이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 무어와 함께 디지털 혁명도 끝나는가.제2의 디지털 혁명이 다가오고 있다. 선봉장은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황창규 사장. 황 사장은 2002년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이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06
크기
가 계속 절반씩 기하급수적으로 줄었다는 뜻이다.이렇게 디지털 기기의 물리적
크기
가 기하급수적으로 작아질 때 그 궁극적인 모습이 바로 나노기술에 의한 사회 변화다. 먼지보다 작은 로봇이나 모터의 등장이라는 나노혁명은 황의 법칙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그 전망을 찾을 수 있다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