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05
지르게 만들었다. ‘무중력 우주공간에서 줄넘기를 하면 어떻게 될까?’ 이 문제에 대해
100
명이 넘는 교사들은 제각기 손을 들고 자신이 생각한 해답을 말했다.사람이 줄을 돌리기 위해 줄에 힘을 가하면, 줄도 사람에 대해 똑같은 크기의 힘을 가한다. 중력이 작용하는 지구에서는 사람이 뛰어 ... ...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05
즐기는 이들이 보였다.집에 돌아가려고 버스 정류장을 찾았다. 부스에 들어서니 “
100
번 버스는 3분 뒤에 도착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떴다. 낯선 사람이 와서 여의도 가는 길을 물었다. 요즘도 버스 노선 묻는 사람이 있네. 벽에 달린 모니터에 “여의도”라고 묻자 “160번 버스가 여의도에 갑니다.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05
지난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첫선을 보인 RS4는 최고출력 420마력, 최대토크 43.9kg·m, 시속
100
km까지 가속시간 4.8초라는 성능을 자랑한다. 아우디의 명성을 드높인 8기통 엔진과 4륜 구동시스템인 콰트로, 차체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 알루미늄 차체가 돋보이는 대표적인 모델.군용차량의 대명사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05
영하 252℃나 350기압 등 저온·고압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법이 쓰였다.연구팀은
100
기압 이하에서 물에 미량의 유기분자(테트라하이드로퓨란)를 첨가한 뒤 물을 냉각했다. 이때 얼음이 만들어지면서 내부에 형성된 나노 크기의 공간에 수소가 안정적으로 저장되는 현상을 발견했다.이 교수는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05
롭해즈는 아직 군수품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상태다. 군 기준에 따르면 군용로봇은
100
℃에서도 동작해야 한다. 하지만 롭해즈는 아직 60℃까지에서만 움직일 수 있다.2004년 10월 20일 14시 날씨가 화창하다. 이곳 아르빌은 중동지역 치고는 상대적으로 덜 더워 생활에 큰 지장은 없는 정도다. 낮 최고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04
1초 정도만에 일어나버린다. 따라서 이 과정을 제대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0
조분의 1초에 한 장씩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펨토초 레이저가 필요하다.“광합성에서는 버리는 에너지가 하나도 없습니다.” 식물이 빛에너지를 받아 이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할 때 효율은
100
%에 가깝다. 김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04
육지를 보호해 준다. 만약 산호초 대신 인공적으로 방파제를 세운다면, 1㎞ 당
100
억 원 이상의 공사비가 들 것이라 한다. 한편 산호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춰 지구온난화를 경감시키는 데도 일조를 한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바닷물에 녹아 들어가고, 산호는 바닷물에 녹아있는 칼슘과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04
있는 녀석일수록 과거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들 가운데 가장 작고 붉은 은하
100
여개는 가장 멀리 있는 은하들이다. 우주의 나이가 겨우 8억살일 때의 모습이다. 우주의 나이가 137억살인 점을 감안하면 무척 어릴 때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또 가까운 은하들은 더 크고 밝으며 나선형이나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04
가리지 않고 세계 일주와 모험을 즐기고 있다.영국 BBC방송은 포셋에 대해 “5개 분야에서
100
개 이상의 기록을 세웠으며 이중 60개는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험을 즐기는 만큼 위험도 많아 1997년 열기구로 세계 일주에 도전했을 때는 러시아에 불시착했고 이듬해 도전에서는 폭풍을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04
경우 PAV 유전자가 58%, AVI 유전자가 42%다. 김 교수는 “AVI 타입인 사람은 쓴맛에 대해
100
∼
100
0배나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현재 다른 쓴맛 수용체에 대해서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실험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렇다면 AVI 타입을 갖는 사람들은 왜 도태되지 않고 아직 살아남았을까. 김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