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를 엿보다!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미래를 만나러 가자!진짜야 가짜야? 가상현실을 만나다!직접 보지 않아도 본 듯, 직접 가지 않아도 가 본 것처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면 우리 생활은 얼마나 바뀌게 될까? 내 방에서 해외여행은 물론 우주여행도 할 수 있을 거야.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에서는 곳곳에서 다양한 미래 기술을 체험할 ...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이루는 물 분자가 모여 서로 에너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거지요. 빛도 마찬가지예요. 입자인 ‘광양자’가 아주 많이 모여 서로 에너지를 전달하면 파동현상이 일어난답니다. 이처럼 빛이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는 것을 ‘빛의 이중성’이라고 해요 ... ...
- [특별 인터뷰] 개구쟁이 로봇과학자 데니스 홍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않나요?하고 싶은 일을 하기 때문에 전혀 힘들지 않아요. 힘든일이 있어도 분석해서 두 가지로 나눠 이겨 낸답니다. 노력해서 할 수 있는 일과 노력해도 안 되는 일로 말이죠. 노력해서 할 수 있는 일은 그냥 열심히 노력하는 거예요. 잘 안 돼도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죠. ...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더 정확하게 물고기 분포를 알 수 있게 됐답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이렇게 두 가지 방법으로 얻은 자료를 비교하고 분석해 물고기 지도를 그려가고 있지요.또 2018년엔 탐구 22호가, 2019년엔 탐구 23호가 완성될거예요. 이 배들은 탐구 20호, 21호와 동시에 동해, 남해, 서해를 다니며 더 정확한 ... ...
- PART2.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연구를 위해 채소를 갖고 왔어요. 덕분에 신선한 샐러드도 먹을 수 있지요.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신선한 과일을 정말 먹고 싶다는 거예요.Q 영화 을 보셨나요? 마크 와트니의 생존 비결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영화는 못 봤지만 소설책을 읽었어요. 전 마크 와트니가 뛰어난 과학 지식을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과학자의 마음에 따라 얼마든지 재미있는 이름이 나올 수 있지요. 실제로 학명을 가지고 ‘장난’을 치는 과학자들도 있답니다. 재밌는 학명들을 만나 볼까요?린네는 장난꾸러기!처음으로 학명 체계를 세운 린네는 재미있는 학명도 만들어 놨어요.대표적인 예가 ‘닭의장풀’의 학명인 Commelina commuis ... ...
- PART1. 영화로 보는 화성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지금 내가 있는 아시달리아 평원으로부터 3200km나 떨어져 있다. 그 먼 곳까지 어떻게 가지?마크 와트니는 어떻게 스키아파렐리까지 갔을까?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는 남북으로 뻗은 길이가 약 1000km예요. 그러니까 마크 와트니가 스키아파렐리 분화구까지 가려면 한반도를 3번 이상 달려가 야 하는 ...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늘어나는 유연함과 압력에 따라 색이 변하는 능력까지 갖췄답니다.이 전자피부는 두 가지 주요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하나는 꾹 누르면 전압이 바뀌는 압력 감지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압력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을 낼 수 있는 전기변색 장치예요. 압력 감지 장치에서 압력을 느끼면 전기변색 ...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도면을 알아서 설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 종이접기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하고 있답니다.배에서 비행기로, 스스로 변신한다!저를 비롯한 MIT 과학자들과 하버드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스스로 접히고 변신하는 종이를 개발했어요. 가로 세로 약 5cm의 유리 섬유가 무서가 개발한 ... ...
- 스마트하게 크게 보자~! 스마트폰 현미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신경세포, 피부를 구성하는 피부세포, 에너지를 저장하는 지방세포, 혈액 속의 혈구 등 200가지가 넘는 세포가 있단다. 그 수도 어마어마하게 많아서어른의 몸에는 50조에서 100조 개의 세포가 있어. 게다가 작은 세포만 있는 건 아니야. 엄청나게 큰 세포도 있단다. 타조 알 속의 난세포는 지름이 7cm나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