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매크로미디어사는 멀티미디어 포맷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에 대한
공동
연구 작업에 착수했다. 이들은 오디오 비디오 3차원 그래픽 화상회의 등의 실시간 전송기술을 포함시켜 올 상반기 중에 연구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실리콘그래픽스는 본격적으로 VRML과 자바, HTML을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미분과 적분은서로 역(逆)연산의 관계에 있으므로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미적분법의
공동
발견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때 '
공동
' 이란 말은 무슨 뜻일까.두사람은 서로 떨어져 있으면서 거의 같은 시기에 미적분법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 발견은 과학의 역사상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단계에 있다.우리나라는 1989-91년 동안 한국해양연구소와 미국국립지질조사소가
공동
으로 서태평양지역에 위치한 마샬군도와 미크로네시아군도 근처의 36개 해저산을 대상으로 망간각 탐사를 수행했다.해저열수광상(hydrothermal sulfide minerals)해수가 해저 지각의 암석 틈새를 통해 지하로 스며들면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낸 이 프로젝트는 전세계에 걸쳐 참가학교를 모아 환경 동물보호 등 지역사회의 현안을
공동
연구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웹에 올려놓는 것이다.'음식과 시장' 코너에는 타이의 오타코 야시장, 일본의 츄키지 어시장 등 각나라의 대표적 풍물들이 소개되고 '미미의 사이버식당' 에는 전세계 모든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닌, 이미 알려져 있던 것이며 실험과정 중의 아이디어는 4인의
공동
토의에서 나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벨상 위원회는 이런 매클로드의 주장을 인정해 그에게 상을 수여했다.밴팅과 매클로드의 문제는 연구의 공로할당이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가에 관한 문제다. 밴팅은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어떤 여왕개미들은 때때로 합작투자를 한다. 여러 마리의 여왕개미들이 한 방에서
공동
살림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 여왕들은 알을 낳는 일부터 그 알들이 부화한 후 애벌레들을 키우는 일까지 새 제국을 건설하는 전 과정에 걸쳐 협동을 아끼지 않는다.가담하는 여왕의 수에 따라 자본도 그만큼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받은 후 귀국, 95년 원자력정책관을 맡기까지 가장 인상깊었던 일은 93년 남북간 핵통제
공동
위원회의 활동이었다. 이때 그는 남북간 원자력 교류 기반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한반도 비핵화’ 를 위해 어렵게 도출된 합의점이 논의 수준에 머물고 말아 못내 아쉬움이 남았다. 현재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플랑크가 처음 시작한 다음, 보어 슈뢰딩거 하이젠베르크 디랙 파울리 등 많은 천재들의
공동
노력으로 완성된 이론이다. 그러나 양자론과 더불어 20세기 최고의 이론이라고 하는 상대성이론은 거의 아인슈타인 혼자의 힘으로 만들어졌다. 이점이 아인슈타인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아인슈타인이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시간절약과 공부하기에 편리함 등이 있었다. 단점으로는 생활이 불규칙해질 수 있고
공동
생활이다보니 개인적인 생활을 하기가 힘들다고 했다. KAIST학생들의 취침시간은 보통 새벽 1-2시였으며 기상시간도 오전 9-10시 사이가 많았다.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경향은 학부생들이 더 강했다. 석박사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입장이었다. 그러나 통합형 코드는 언론 및 소프트웨어업계가 한글코드의 귀착점으로
공동
인식하고 있는 유니코드(ISO 10646-2)와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오히려 방해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통합형은 사용자나 소프트웨어업계가 주장해온 현대 한글 1만1천1백72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으며 문자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