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위기에 몰린 남성의 생식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원인이 된다. 1996년 발표된 네덜란드 연구진의 보고서에 따르면, 하루 24시간씩 6개월간
꼭
맞는 하의를 입은 남자와 헐렁한 속옷을 입은 남자에 대해 정자의 수를 비교해본 결과 전자가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어쨌든 호르몬 교란이론을 둘러싼 논쟁은 쉽사리 판가름날 성질의 것은 아니지만, ... ...
통합소재 공략이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따른 변화를 그린 것이다.오징어의 최대 순간 속력을 추정하기 위해,오징어의 질량 외에
꼭
필요한 정보를 아래(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보기ㄱ.오징어 축색돌기가 외투강을 싸고 있는 근육에 전달한 전기 에너지ㄴ.오징어가 분사한 물의 평균 분사 속력ㄷ.오징어가 분사한 물의 총질량①ㄱ ②ㄴ ... ...
2. 외계인 생체실험의 진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갔다. 그는 나이많은 베테랑 사진기자 중에 프레슬리의 공연실황을 촬영한 사람이
꼭
있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 그는 우연히 BJ(잭 바네트라고도 함)라는 사진기자를 만났는데, BJ가 흥미로운 필름이 있다고 권한 것이 바로 로스웰 시체검시필름이다.현재 샌틀리가 공개한 로스웰필름은 UFO를 믿는 ... ...
바이러스와의 영원한 전쟁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수 있고, 대지진 같은 천재지변이나 거대한 혜성과의 충돌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꼭
그렇게 거창할 필요는 없다. 4백나노미터(nm) 크기의 박테리아나 20nm짜리 바이러스가 인류를 참혹한 질병으로 멸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인류는 유사 이래 수많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속수무책으로 ... ...
5. 한국유전공학의 메카 생명공학연구소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쥐들의 사육장은 일류 호텔보다도 더 깨끗하다. 여기에서는 항암제 약효 평가에
꼭
필요한 누드마우스(털이 없는 쥐)도 만나볼 수 있다.생명공학연구소는 인터넷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게놈연구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GINet(genome information network of korea)은 국내 게놈프로젝트 연구자 전용 전산망으로 ... ...
당신도 인터넷 전문검색사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어딘가에 있는 '내게
꼭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기란 쉽지않은 일이지만,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어렵지도 않은 일이다. 정보의 바다를 헤쳐가면서 최단 시간에 목적지에 닿을 수 있는 지름길을 찾아보자. 활용자 입장에서 보자면 전세계의 수백만개 사이트로 이루어진 인터넷은 수십만권의 책을 ... ...
유인원과 함께 산 세여자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달아나는 침팬지를 봤다. 그 순간 그는 인간의 근원을 찾기 위해서 유인원의 연구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그런데 누가 유인원 연구에 가장 적합할까. 문명의 이기라고는 전혀 없고, 뜨겁고 위험한 열대우림 속에서 끈기있게 생활할 수 있는 그 누군가를 찾아야만 했다. 그는 기존의 과학 ... ...
삼지창 모양의 공룡발자국 첫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오후였다.이곳에서 필자는 이상한 구조를 가진 회색 이암층을 발견했다. 크기와 모양이
꼭
어린이 발자국과 같았다. 호기심을 가지고 주의깊게 살펴보니 틀림없는 공룡 발자국이었다.동행했던 사람들이 "무슨 공룡 발자국이 그렇게 작냐"고 물었다. 공룡이라고 모두 크지 않고 작은 공룡도 있다" 고 ... ...
2. 과학탐구토론대회 새로운 공룡멸종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다른 팀의 경기 때에는 불성실한 청취 태도를 보인 것 등이다. 이런 점은 추후에
꼭
개선해야 할 문제이다.또 팀 구성원들 간의 토의도 부족했다. 서로 얘기는 많이 했지만 독창적인 생각들이 거의 나오지 않았다. 그저 학자들의 학설에만 의존해 발표했던 점이 참여자에게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 ...
1. 세계는 왜 중국을 두려워하는가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어느 대학을 방문하더라도 자기 학교에 중국과학원 원사(academician)가 몇 명 있다는 것을
꼭
말한다. 학교의 자랑이자, 그 학교의 과학교육 수준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원사란 각 연구분야에서 최고의 연구성과를 이룩한 과학자에게 부여하는 칭호로 본인은 물론 소속기관에도 커다란 명예로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