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연못 여기저기에서 얼음의 결정이 생기고 번져서 마침내 연못 전체가 얼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
로 인플레이션도 전 우주공간에서 일제히 시작되고 끝나지는 않았을 것이다.흥미로운 경우는 우주의 다른 부분에서 인플레이션이 모두 끝났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한 부분에서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는 ... ...
도로의 심장 교차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위의 유리구슬도 함께 고착된다. 풀칠을 하고 난 뒤 반짝거리는 가루를 붙이는 것과
마찬가지
다.마지막으로 일반 페인트와 다른 점은 광택이 없도록 만든다는 점이다. 광택이 있으면 빛을 받았을 때 반사가 생겨 차선이 명확히 보이기보다는 눈만 부시게 된다. 따라서 도로표지용 페인트에서는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일어나 해할현상이었을 가능성을 더하고 있다. 1789년 나폴레옹은 이집트 원정 때 모세와
마찬가지
로 육로를 통해 홍해를 건넜다고 전해진다. 물론 이 때도 강풍이 불었다. 나폴레옹이 홍해를 건넌 지점이 바로 수에즈와 가까운 얌수프(갈대바다)로 불리는 곳이었다고 한다. 이 곳에서 다른 쪽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빛은 어떨까. 위로 730m 높이에 있는 물방울에서 나오는 빛이 관찰자 눈에 들어오는 것과
마찬가지
로 관찰자로부터 수평으로 42˚, 거리로는 730m 떨어진 곳에 있는 물방울로부터 나오는 빨간색 빛도 눈에 들어온다.만약 관찰자 아래쪽으로 730m 지점에도 물방울이 있다면 그 물방울에서 나오는 빨간색 ... ...
한국과학문화재단 조규하 이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합리적으로, 과학적으로 시공하고 관리했다면 붕괴되는 일이 없었겠지요. IMF사태도
마찬가지
입니다. 우리 사회는 과학기술 마인드가 부족해 들어가는 사회적 비용이 너무 큽니다.” 조 이사장은 과학기술문화운동은 경제적으로 보면 이런 사회적 비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줄이는 방법이라고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뉴턴의 입장에서 보면 최한기의 기륜설은 18세기 프랑스 입자철학자들의 소용돌이이론과
마찬가지
로 가설에 입각한 것이다. 그것은 경험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다. 최한기는 서양과학을 이해하고 수용하기는 했지만 그 자신은 과학자가 아니라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이는 공기 중의 티끌과 공해 물질들이 더 먼 곳에서 오는 빛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로 허셜은 가시광선만 사용해 관측했으므로 별들 사이의 티끌에 가려져 있는 우리은하의 다른 부분을 보지 못했고, 결국 태양이 우리은하의 외곽에 있다는 사실은 알 수 없었던 것이다.우리은하의 크기와 ... ...
'잘 나가는' 제비의 자식 사랑 부부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죽음을 각오하고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것이다. 강남에서 우리나라로 이동해 오는 것도
마찬가지
다. 수많은 제비들이 떼지어 지내면서 그곳의 생활여건이 한계에 달하고 우리나라 지방에 봄이 오면 새로운 먹이가 많아지므로 또다시 목숨을 걸고 이동한다. 그러나 오가는 도중 이들에게는 엄청난 ... ...
Y2K 비상계엄 시나리오 5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이 때문에 발생하는 파장을 막기 위해 ‘Y2K 비상사태령’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영국도
마찬가지
다.그렇다면 지금까지 발표된 시나리오는 어느 정도 현실성이 있을까. 만약 그중 일부라도 실현된다면 올 연말에 Y2K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미리 생필품 등을 확보하도록 계몽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 ...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흙이 있는 곳에 강풍이 불게 되면 모래 먼지가 바람에 날리면서 흙바람이 일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로 봄철에는 겨울 내내 얼어있던 건조한 토양이 녹으면서 잘 부서져 부유하기 쉬운 20㎛ 이하 크기의 모래 먼지가 많이 생긴다. 여름에는 강수도 있고 가을까지도 땅에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있어 모래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