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똥나와라 똥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땅에 구멍을 파서 항아리 같은 큰 그릇을 묻고 위에 발판을 만든 재래식 화장실에서
볼
일을 보았답니다. 이런 재래식 화장실을 ‘뒷간’이라고 불렀지요.뒷간에 똥과 오줌을 모아놓은 이유는 따로 있어요. 똥과 오줌을 발효시켜 밭에 뿌리면 식물이 잘 자라는 데 필요한 좋은 거름이 되거든요. ... ...
우주에서만 신는 신발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근육이나 골격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우주비행사들을 위해 만들었지요.포스슈는 흔히
볼
수 있는 샌들에 높은 굽을 단 것처럼 생겼어요. 하지만 그 굽에 과학기술이 숨어 있답니다. 우주비행사들이 이 신발을 신고 움직이면 근육과 골격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세밀하게 분석하거든요. 신발 앞, ... ...
잡힐 듯 말 듯 신기한 스케치북 속 3D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말 듯, 눈을 속여라!나가이 히데유키의 작품은 스케치북에 그린 평면 그림이지만 눈으로
볼
땐 3D처럼 그림이 튀어나와 보여요. 하지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다시 평면 그림이 되지요. 그림의 명암과 각도를 이용해 착시효과를 일으키는 ‘아나모픽(anamorphic)’기법을 이용했기 때문이지요. 그림 속의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⑤ 불고기으하하하, 바닷가로 캠핑을 왔으니 오랜만에 쫄깃쫄깃 광어회 한 접시를 먹어
볼
까? 잠깐! 요즘처럼 날씨가 무더운 여름에는 특히 음식을 조심해야 해.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들이 증식해서 음식을 오염시키기 좋은 환경이거든. 맛있는 회는 가을로 미루고 어제 끓여 놓은 고깃국이나 한 ... ...
밀물 썰물로 전기가 찌릿찌릿 시화호 조력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발전소야.조력문화관 100배 즐기기!지난 6월 25일, 시화호조력발전소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조력문화관이 문을 열었어. 조력문화관 1층에는 에너지의 중요성을 담은 애니메이션이 상영되는 4D 서클영상관이 있어. 달의 요정을 찾아 떠나는 바다 생물들의 모험을 360도로 펼쳐진 화면으로 만날 수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있답니다.경기에 출전하는 레이서를 자세히 보면 어깨에 가방끈처럼 보이는 장비를
볼
수 있어요. 이게 바로 운전자의 목을 보호해주는 ‘한스’랍니다. 한스를 헬멧과 연결해 쓰면 어깨와 목, 머리를 고정시켜 큰 충격에도 부상을 줄일 수 있어요.레이서뿐 아니라 모든 운전자에게 중요한 것이 ... ...
여름밤을 흐르는 우윳빛 강물 은하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하늘 끝에서 끝까지 화려하게 펼쳐져 있는 은하수를
볼
수 있어요! 도시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은하수와 별을 찍어 보고 싶다면 지금부터 주목하세요. 제가 비법을 알려 줄게요.카메라를 삼각대에 고정한 다음 빛이 들어오는 구멍인 조리개를 최대한 열기 위해 조리개 값(F값)은 가장 낮게 설정하고,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실린 채로다. 화력이 집중되는 지점에 놓인 작은 금속 원통 용기 안에서는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물리현상이 나타난다. 벽을 이루는 금 성분이 강력한 엑스선을 방출하기 시작한다. 금속 용기 한가운데는 1억 분의 1초 만에 온도가 4000만K까지 치솟는다. 이 원통의 중심부에 놓인 작은 물질은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천문학 연구 사상 블랙홀의 모습을 가장 완벽하게 구현했기 때문이다. 원래 블랙홀은
볼
수 없다. 빛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영화 속에서 시꺼먼 블랙홀을 둘러싼 화려한 빛은 무엇일까. 원래 블랙홀 뒤에 있어 보이지 않아야 할 별빛이 블랙홀의 강한 중력렌즈 효과를 받아 휘면서 우리 ... ...
[과학뉴스] 청각만으로 길 못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피하기 때문이다. 마치 고래나 박쥐 같다. 혹시 사람도 귀를 제2의 눈 삼아 공간을 ‘
볼
’ 수 있을까.독일 뮌헨대 러츠 위그레브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보면, 청각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청각과 함께 몸의 다른 부위도 공간을 인식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시력이 정상인 학생 8명을 모집한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