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조선 세종 때 한 천문학자에게 “원의 중심각은 몇 도인가”라고 묻는다면? 그는 “칠정산내편법으로 하면 365.2425도, 외편법으로 하면 360도”라고 답할 것이다.왜 이런 이상 ... 칠정산은 시헌력을 보조하며 여전히 일월식 예측에 사용됐다. 칠정산이 그만큼 믿을 만한 역법이었던
셈
이다 ... ...
당신도 '프로슈머'입니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수 있다. 스스로를 드러내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동영상 UCC 만한 매체가 없는
셈
이다. 보는 재미에서 만드는 재미를 알게 해주는 매체라고나 할까.경치나 행사처럼 스토리를 전개할 필요가 없는 내용은 디지털카메라나 휴대전화 카메라만 있으면 누구나 찍어서 올릴수있다. 이렇게 동영상을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부총장은 “스위스의 대학은 자신의 뿌리에 미국 소스를 뿌려 독특한 문화를 만든
셈
”이라며 “본성을 잃지 않으면서 더 발전하는 모델을 만든다”고 강조했다.아인슈타인을 배출한 취리히공대와 로잔공대, 두 대학은 스위스 산업의 모태다. 스위스는 세계 여러 나라와 관계를 맺으며 국가와 ... ...
우주실험 임무 걱정 마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이제 우주라는 극한의 공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에게 우주는 인생 최대의 탐험지인
셈
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에 대한 탐험은 끝나지 않았다. 그는 “우주인 선발 과정동안 꿈을 꿀 수 있어 행복했다”며 “우주실험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돌아와 무인 우주탐사선의 ‘눈’을 만들고 싶다”는 ... ...
시들해진 마음에 불을 질러라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관심을 갖게 됐다. 이런 점에서 코카콜라와의 공동마케팅 전략은 크게 성공한
셈
이다. 열풍의 주체는 바로‘당신’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2006년의 인물은‘You’였다. 연예인처럼 특정 인물이 만들어낸 콘텐츠의 영향력은 점차 줄고 개인이 만들어낸 각자의 콘텐츠가 그 어느 때보다도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공급처로 돼지가 이용됐다. 음식에 불과했던 돼지가 병을 치료하는데 기여하기 시작한
셈
이다.최근에 사람들은 그동안 등한시했던 돼지 뼈를 이용할 방법도 찾기 시작했다. 작년 10월 인제대 의용공학과 신정욱, 김영곤 교수는 돼지 뼈를 특수처리해 인공뼈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길어져 어김없이 한해에 입춘이 2번 들게 되니 쌍춘년은 사실 거의 2~3년마다 생기는
셈
이다. ‘100년만의 쌍춘년’이라는 소리가 얼마나 과장인지 알 수 있다.황금돼지해도 마찬가지다. 돼지해는 12년마다 돌아오지만, 그 중에서 간지가 2007년처럼 ‘정해(丁亥)’년인 경우는 60년에 한 번이다. 여기서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규모에서만 작용한다. 우리 우주는 바로 당신이 존재할 만큼 섬세하게 짜여져 있는
셈
이다.암흑에너지가 진공에너지인가를 확인하려는 노력은 계속 진행 중이다. 박 교수는 “2015년쯤 되면 W가 -1인지, 즉 암흑에너지가 진공에너지인지 1% 정도의 오차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리스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신체 설계를 담당하는 공통된 유전자집단이다.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마스터유전자인
셈
이다.선충이나 초파리, 제브라피쉬, 쥐 등의 모델생명체를 연구하면 인간의 몸을 만들고 발달시키는 마스터유전자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초파리와 쥐의 눈은 전혀 달라 보이지만 기원은 같다. 초파리의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김선영 교수는 “‘얼짱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 정도라면 생명의 비밀은 다 풀린
셈
”이라며 고개를 저었다. 김 교수는 “사람은 동물처럼 유전자를 마음대로 변환시키는 실험을 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사람의 기본적인 골격이 배아나 태아 상태에서 결정되는데 유전자가 바뀌면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