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어
국어
조선말
조선어
나랏말
국어과
국어과목
d라이브러리
"
한국말
"(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모래바람 속에서 8천만년이나 잠을 자던 공룡들이 깨어나고 있다. 몽골 고비사막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공룡알 둥지가 발견되고, 프로토케라톱스, 오비랩터 등 수많은 공룡화석들이 잘 보존된 곳. 우리나라 학자로는 처음으로 세계적인 공룡화석 사냥터인 고비사막에서 공룡화석을 발굴하면서 겪었 ... ...
초고속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통신 기술 덕분에 전화, 케이블 TV, 아파트 인터폰 등 가정에 들어오는 모든 선들이 데이터 통신의 고속도로가 되고 있다. 전화선을 이용한 ISDN과 ADSL, 케이블 TV망을 이용한 초고속 인터넷, 유선방송망과 구내배선을 이용한 HDSL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수백kbps에서부터 10Mbps까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한국인의 얼굴이 길쭉해지고 있다. 미간이 좁아지고 콕 ㅏ길어진 탓이다. 요즘 감각으로 보면 세련된 얼굴 형태다. 더욱이 입꼬리가 올라가 상냥한 인상을 풍긴다. 하지만 컴퓨터 사용이 늘면서 전혀 다른 얼굴로 바뀔 가능성도 있다.시경’(詩經)에 강산은 십년에 한번 변하고 얼굴은 천년이면 변 ... ...
무궁화3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무궁화위성 3호가 9월5일 오전 7시 34분(한국시간) 남미 기아나(프랑스령) 쿠루기지에서 발사됐다. 10월 말 동경 116도, 3만 6천Km 상공의 정지궤도에 자리잡게 될 무궁화위성 3호는 앞으로 15년 동안 한반도 및 아시아 지역에 최첨단 방송·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무궁화위성 3호는 우리나라의 6번째 인공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조선시대 한국인의 평균 키는 1백50cm였다. 2020년에는 이보다 20cm 정도 증가할 것이다. 이처럼 한국인의 체격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체력은 현재보다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TV를 보면 ‘지오레인저’라는 어린이 프로그램이 있다. 여기에 몸통은 없고 머리만 있는 조단이라는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현재보다 머리가 좋고 외모도 뛰어난 신한국인이 21세기에 탄생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하지만 유전자가 변형된 채 태어난 인간이 생리적으로 정상적인 삶을 누릴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1983년 충북 청원군의 한 동굴에서 흥미로운 뼈화석이 발견됐다. 약 4만년 전 구석기 시대에 살았다고 추정되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시민들이 국내 복제기술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복제기술을 통해 한 인간을 탄생시키는 일은 물론 초기 배아 단계까지 기르는 일도 금지하도록 요구했다. 하지만 복제기술은 인간의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과학계의 반발이 예상된다. 복제기술은 과연 어디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연구센터 이름을 지을 때 ‘한국’이나 ‘국제’와 같은 말을 붙이는 것이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관습이다. 이왕이면 다소 거창한 이름이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준다는 인식 탓이다. 하지만 경기의약연구센터는 다르다. 연구원들은 ‘경기도’라는 지방자치단체의 이름이 붙은 것을 오히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대전 생명공학연구소의 한 동물실험실. 몸에 ‘털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누드쥐가 살고 있는 방을 살펴보면 웬만한 1급 호텔보다 더 깨끗하게 청소된 느낌을 받는다. 하찮은 미물로 여겨지는 쥐가 왜 이런 특사 대우를 받는 것일까. 인간의 질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유전적 원인을 알려주기 때문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화석은 과거 생물들의 타임캡슐. 그 안을 들여다보면 수억년 전의 일도 어제의 일처럼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누구나 쉽게 화석을 찾을 수 있는 '돌멩이 반 화석 반'의 고장 태백을 소개한다.'화석'하면 보통 외국의 책이나 전시장에서 보는 크고 화려한 것을 떠올리고. "우리나라에는 왜 이런 것이 없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