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앗! 나의 실수 운동화 끈은 왜 자꾸 풀리는 거야?
수학동아
l
201202
겨우내 움츠러들었던 몸과 마음을 튼튼히 하기 위해 운동을 하기로 결심한 안나는 가까운 공원을 찾아 조깅을 시작한다. 하지만 뛰는 중간에 운동화 끈이 자꾸만 풀려 안나를 괴롭힌다. 쪼그려앉아 운동화 끈을 매 보지만, 살짝 잡아당기기만 해도 금세 풀리고 마는데…. 바로 여기에 안나의 실수가 ... ...
미션! 공룡의 흔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송효준 기자 : 공룡 연구와 창의력이 서로 관련 있다니 놀라워요! 혹시 올해
교수
님께서 계획한 목표가 있으신지 궁금해요.허민 (전남대학교한국공룡연구센터 소장) : 우선 여수, 구례, 남해 등에 있는 새로운 공룡 화석 발굴지를 찾아 나설 계획이에요. 또 화순에있는 익룡 화석에 대해 더 깊게 ... ...
수학으로 꿰뚫는 추리 셜록홈즈 그림자 게임
수학동아
l
201202
수 있었네. 그녀는 모리아티
교수
가 건넨 차를 마시고 즉사했거든.홈즈는 모라아티
교수
가 독성이 있는 식물을 우려낸 차로 그녀를 살해한 걸 알아 냈어. 그의 식물에 대한 정보가 없었더라면 불가능한 일이었지.이처럼 셜록홈즈는 타고난 천재적인 추리능력뿐만 아니라 수학은 물론, 과학 실력까지 ... ...
삼한사온은 신기루?
과학동아
l
201202
6월 대한지리학회지에는 이와 관련된 논문이 하나 실렸다. 이승호 건국대
교수
와 허인혜
교수
는 대한지리학회지 144호에 ‘한국의 도시화에 의한 극한기온의 변화’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논문에서 “한국에서 극한기온 지수는 대부분 전 지구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온 상승 경향에서 크게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02
보통 초파리에 비해 짧았다. 인간에게도 셰이커와 같은 기능을 가진 유전자가 있다. 최
교수
는 “잠은 항상성이 있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든 평균 수면시간을 채우려는 경향이 있다”며 “유전자에 문제가 생겨 항상성이 충족되지 못하면 반대급부로 수명이 단축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02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김대진, 박민현
교수
팀은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의 지능이 떨어진다고 1월 18일 발표했다. 중고등학생 642명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9.5%가 인터넷 중독 상태로 평가됐다. 지능 검사를 한 결과 이해력 분야에서 중독 청소년은 9.9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02
좋아하는 학문이 생물학이잖아. 생물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 가서 특별한 연구를 하는
교수
가 될 수도 있고, 생물학을 해서 아이들에게 즐거운 생물학을 가르치고 싶다면 사범대나 교대에 가면 돼. 공부하다 보니 동물에 대해 관심이 생긴다면 수의학과에 갈 수 있지. ‘요즘 보니 신종 바이러스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
과학동아
l
201202
성급하게 결론 지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재완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
는 “불확정성 원리 가운데 움직이는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에 대한 부분을 해석해서 새로운 식을 만든 연구”라며 “의미가 있는 연구지만, 양자역학을 깰 정도의 내용은 아니다”고 말했다. [입자의 스핀을 ... ...
이산화탄소에 취한 물고기는 용감해
과학동아
l
201202
붕괴 가능성마저 우려하고 나섰다.필립 문데이 호주 제임스쿡대 해양열대생물학과
교수
팀은 애니메이션 ‘니모’로 유명한 흰동가리를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바닷물에서 키운 뒤 행태를 관찰해 그 결과를 ‘네이처 기후변화’ 1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현재의 이산화탄소 농도(약 450ppm)와 이번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02
‘전도사’ 역할을 하는 입자(포논)의 움직임을 방해해 열전도성을 떨어뜨렸다.리
교수
는 이번 연구결과가 “초소형 광전자 소재나 나노구조물 기반의 열전자 소재의 발열을 관리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한 쌍의 나노구조물의 열전도성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