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6,996건 검색되었습니다.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12
양상을 ms(밀리초, 1ms=1000분의 1초) 단위로 분석하는 과정을 끝내면 이를 논문으로
발표
할 예정이다.우주에서도 통한 IT강국의 면모러시아 가가린 우주센터와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세계 여러 나라 우주인들을 만날 때마다, 한국은 이제 우주개발에 첫 걸음을 떼는 나라라는 느낌에 주눅이 들 때가 ... ...
[생태학]물고기 리더는 뚱뚱하고 몸 색깔 진해야
과학동아
l
200812
외모를 기준으로 삼는다는 연구결과를 생명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 11월호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물고기 떼의 리더가 어떻게 결정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우두머리가 없는 큰가시고기 떼를 포획했다. 그런 다음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진 2마리의 큰가시고기를 디지털이미지로 만들어 보여 준 ... ...
[천문학]이웃 태양계엔 소행성대가 2개?
과학동아
l
200812
우리 태양계와 비슷하게 생긴 이웃 행성계에서 소행성대가 2개 발견됐다.소행성대는 지름이 수m~수km에 이르는 작은 천체들이 중심별 둘레로 길게 띠를 이루며 공전하는 영역인 ... 추측하고 있다.이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지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내년 1월 10일자에
발표
될 예정이다 ... ...
[지구과학]모래층에서 발견된 지진해일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12
왓워터 박사팀은 과거 거대한 지진해일의 기록을 발견해 ‘네이처’ 10월 30일자에
발표
했다.2004년 인도양에서 발생한 강진 때문에 수십m에 이르는 거대한 해일이 생기며 동남아시아를 강타해 2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연구팀은 2004년 수많은 희생자를 낳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을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12
면적에서 나온 빛이 실내조명이 있는 상태에서도 보일 정도다.2002년 이후 이 교수팀에서
발표
한 나노막대 관련 논문가운데 40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1편, 200회 이상이 2편, 100회 이상이 7편이나 된다. 불과 5~6년 만에 이 교수는 나노막대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학부 때 물리학을 전공한 ... ...
평가기준 분석이 논술 준비의 핵심
과학동아
l
200812
방식이다. 그런데 얼마 전 서울대는 구술면접 20%를 수능성적 20%로 바꾸는 입시안을
발표
했다. 이런 반영률의 변화는 학생들의 학습방식에 영향을 끼친다. 2배수 점수를 미리 알아내는 일이 불가능함에도 2단계에서 수능점수가 제외되는 현재 시스템에서는 최상위권 학생의 경우 평소 논술 준비에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12
상대방의 얼굴을 보더라도 그 사람의 특성을 상당히 정확히 예측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
했다.연구팀은 실험참가자들에게 시간의 길이를 달리하면서 사람들 사진을 보여 주고 사진 속 사람이 이성애자인지 아니면 동성애자인지를 가려내게 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0.05초라는 짧은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12
행운인 셈이다.“그런데 2000년 미국의 연구진이 로돕신의 구조를 밝힌 논문을
발표
했습니다. 다들 감탄하며 실험을 재현해봤지만 되지 않더군요.” 당시 박사 후 과정으로 미국에서 일하던 일본인 오까다 박사가 이 실험을 주도했는데 논문에는 결정성장의 비밀을 정확하게 쓰지 않았던 것. 최 ... ...
고감도 무선 키보드, 마우스 ‘트래블 티니스’
과학동아
l
200812
무선주파수(RF)를 사용해 송수신거리가 최대 10m에 이르기 때문에 회의실에서
발표
를 할 때도 편리하다. TV 리모컨 같이 적외선을 사용하는 방식의 제품은 송수신거리가 2~3m로 짧고 적외선 센서와 키보드와 마우스의 송신기 방향이 일직선이 되지 않거나 중간에 장애물이 있으면 수신율이 절반 이하로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10월! 찻길 온도가 가장 높을 때야.알을 낳으러 가야 해 두꺼비작아서 놓쳤을까? 환경부
발표
순위에는 없었지만 사실 두꺼비는 굉장히 사고를 많이 당하는 동물이야. 두꺼비가 이렇게 사고를 많이 당하는 이유는 뭘까? 두꺼비는 알을 낳는 곳과 활동하는 곳, 겨울잠을 자는 곳이 각기 다르단다.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