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13살 컴퓨터 입문-30대 미국 제일 재벌
과학동아
l
199412
그는 전공인 법학보다는 컴퓨터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그리고 그와 앨런은 75년
최초
의 미니컴퓨터인 MITS 알테어용 베이식을 개발해내기에 이른다. 알테어 컴퓨터를 직접 본 적도 없는 그와 워싱턴 대학에 다니던 앨런이 개발에 착수한 지 6주만에 만들어낸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호기심 많은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12
스미스가 생명의 기원을 설명한 점토이론에서 내놓은 개념이다.점토이론에 따르면,
최초
의 유전물질 역할을 수행한 것은 핵산이나 단백질 같이 유기물이 아니라 무기물인 점토이다. 점토는 물의 작용으로 단단한 바위들이 풍화작용을 일으킴으로써 형성된다. 지구는 항상 엄청난 양의 점토를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11
접혀있는가를 밝히는 연구 등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화학상/올라탄소양이온 존재
최초
확인한 헝가리계 학자올해의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 미국 남가주대 화학과의 조지 올라 석좌교수로 결정됐다. 그의 수상이유는 탄소양이온의 존재확인. 이는 기초화학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을 ... ...
PART.3 CD-롬 타이들, 양보다 질 높이는데 주력
과학동아
l
199411
컴퓨터의 '동아일보 사설선집'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특히 '동아일보 사설선집'은 국내
최초
로 타이틀 검색 기술을 개발한 큐닉스컴퓨터에서 만든 타이틀로 동아일보 창간호에서부터 지금까지의 사설, 연표, 10대뉴스, 인사록 등을 담고 있다. 1968년부터 26년간의 10대 뉴스를 사진과 함께 실고 있는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11
1978년 tRNA(전령RNA)의 입체구조와 기적의 감미료라 불리는 토틴의 단백질 구조를 세계
최초
로 규명하기도 했다 .인하대 김성수교수는 "80년대 들어 국내 유기화학분야가 급속히 발전했지만 노벨상을 수상할 정도는 아니다"며 "올해 수상자인 헝가리 태생의 올라 박사처럼 가능성이 보이면 독지가가 ... ...
지구과학 - 신대륙이동설 판운동의 발견
과학동아
l
199411
3년 6개월간에 걸쳐 해저 수심 측정을 고작 3백70여회 할 수 있을 뿐이었다. 소나를 이용한
최초
의 해저 탐사 선박은 메테오르호(1922년)인데, 소나를 이용하면 챌린저호가 전 항해중에 얻은 자료를 단 5분만에 얻을 수 있다고 있다.해저의 탐사 결과 하와이는 해저에서부터 10㎞나 솟아 오른 해저산이며 ... ...
3. 인류의 꿈-두뇌 닮은 신경망 개발
과학동아
l
199411
가능성이 돋보였다.그 후 1957년 미국의 로젠블럿에 의해 개발된 '퍼셉트론(Perceptron)'이란
최초
의 신경망 모델에서는 글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까지 발전했다. 그러나 주어진 입력에 대해 선형적인 분리가 불가능하다는 점이 발견됨으로써 신경망 모델에 관한 연구는 침체를 겪게 됐다. 이는 ... ...
2. 역대 수상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11
고국을 떠나야했다. 다시 케임브리지대학으로 돌아간 그는 결국 파키스탄 출신으로는
최초
의 노벨상 수상자가 됐다. 한편으로 그는 불우한 후진국 이론 과학자들을 돕기 위해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 1964년 저개발국가들의 필요에 초점을 맞춘 국제 이론물리학연구소(ICTP)를 세우기도 했다 ... ...
이곳만은 지키자
과학동아
l
199411
몇가지 면에서 타이틀이 가진 부족함도 눈에 띈다. 먼저 '멀티미디어로 구현된 우리나라
최초
의 환경 운동 전자책'임을 표방하면서도 그다지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들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수록된 자료들이 모두 정지화상 이어서 생동감이 결여돼 있다는 것이 결정적인 지적사항이다.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11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것이지만 이러한 생각을 과학적 사실로서 대중에게 알린
최초
의 학자는 오늘날 지질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영국의 제이스 허튼(1726~1797)이다. 그는 1785년 지구를 거대한 생명체에 비유하고 지구의 연구에 지구생리학(geophysiology)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를테면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