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볼 수 있도록 자동차 내부 지붕에 설치하는 거울이다. 룸미러는 뒤에오는 차와의 정확한
거리
측정을 위해 있는 그대로를 보여 줄 수 있는 평면 거울을 사용한다.앰뷸런스의 글자가 좌우로 뒤집힌 이유는?자동차를 몰고 가는데 어디선가 다급한 사이렌 소리가 들린다. 룸미러를 통해 뒤를 보니 ... ...
어과동과 함께하는 월드컵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공을 차는 것을‘프리킥’이라고 한다. 주로 패스를 많이 하지만 상대방 골문과의
거리
가 가까울수록 골을 넣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져 곧바로 슛을 시도하기도 한다.8. 페널티킥 상대방의 페널티 에어리어에서 반칙을 얻으면 공격하는 팀은 페널티킥 찬스를 얻는다. 오로지 골키퍼만 방어할 수 있고 ... ...
물질+반물질=물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것으로 보고 있다.프로토늄은 양성자와 반양성자가 만나 에너지로 소멸되기 전, 일정한
거리
를 두고 궤도를 돌며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물질상태로 존재한다. 이 물질은 그동안 격렬한 소립자의 충돌에 의해서만 만들어진다고 알려졌다.리찌니 교수는 “새로 발견된 화학반응을 이용하면 프로토늄 ... ...
콘크리트보다 강한 종이기둥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설치했다.페이퍼테이너 뮤지엄은 천장이 높고 종이 기둥이 있어 기둥 사이 사이에
거리
를 두고 스피커를 설치했다. 종이 기둥은 반사음을 흡수해 관람객에게 더 좋은 소리를 들려줄 수 있다.353개의 거대한 종이 기둥이 서 있고, 166개의 컨테이너가 튼튼한 벽과 지붕이 되는 건물.상상불가의 이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 없는 아득히 먼
거리
일까. 대략적인 계산을 해보면 알 수 있다.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
는 약 38만km다. 보통 어른은 1시간에 4km를 걷기 때문에 달까지 걷는다면 9만5000시간이 걸린다. 자는 시간(8시간)과 식사시간(2시간)을 제외하고 계속 걸어간다고 가정하면 20년 정도가 걸린다.문제를 조금 바꿔 ... ...
반도체에 심은 양자컴퓨터 씨앗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달콤한 휴식 시간이자 연구의 연장”이라고 말한다. 소설을 쓸 때 전체의 줄
거리
와 구성을 미리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안 교수는 소설도 일종의 ‘사회적 사고실험’으로 생각하고 과학적으로 쓴다. 시공간적 배경과 같은 초기 조건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고 그 위에 여러 성격을 가진 ... ...
문신하면 덜 아프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부위는 없는 부위에 비해 촉각이 무딘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자극점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
거리
가 문신이 없는 피부는 평균 28mm, 문신이 있는 피부는 평균 32mm로 나왔다.앨런 교수는 문신을 한 피부에서 촉각이 무뎌지는 이유에 대해 “문신을 하는 과정에서 피부의 자극 수용체가 손상을 입었을 ... ...
휴대폰 분실, 이제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사용자가 무선 ID카드를 몸에 지니고 있으면 휴대폰은 이 신호를 감지하고,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면 단말기 입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원리다.이 휴대폰은 위성신호 수신기도 내장하고 있어 분실되더라도 네비게이션 서비스로 쉽게 찾을 수도 있다.영국 시만텍(Symantec)의 무선보안 전문가인 올리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거리
는 일정하지 않다.경도 1°는 세계 어디에서든 4분이라는 시간 차이를 나타내지만
거리
로 환산하면 적도에서는 109.4km이고 북극이나 남극에서는 0km가 된다. 이처럼 서로 다른 두 지점의 시각을 동시에 알면 정확한 경도를 구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두 개의 시계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일이지만 ... ...
이휘소 박사는 '팬티가 썩은 사람'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핵무기의 원료인 ‘농축 우라늄’ 확보가 관건인데 이는 이 박사의 전공과는 상당한
거리
가 있다.한편 저자가 뽑은 이 박사의 업적은 게이지 이론의 재규격화와 ‘참’(charm)입자의 탐색 두 가지다. 이들 연구 분야는 이 박사의 연구업적에 힘입어 각각 1976년과 1999년 노벨 물리상을 받았다.저자는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