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게"(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경기전의 넓이가 달라진 건 우리 조상의 터를 뚝 잘라 원래 모양을 찾아 볼 수 없게 만든 일제의 만행 때문입니다. 일제시대인 1919년, 일본이 경기전의 서쪽 땅과 부속 건물을 철거하고 일본인 소학교를 세우면서 원래 넓이의 절반 정도가 잘려 나갔습니다. 일본인 소학교는 다시 지금의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 인체 독성이 적은 PLA 수지도 친환경 재료라고는 보기 어렵다. 고분자가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몸 속에서 녹는 의료용 생분해성 PLA 수지도 있지만, 의료용이 아닌 분야에서 이런 고가의 재료를 쓸 확률은 높지 않다.전문가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3D 프린팅의 독성이 극히 일부에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표준모형은 매우 아름다운 대칭성을 가지고 있고, 엄청난 정밀도의 이론적 예측을 가능하게 해주는 대단히 높은 완성도를 보이고 있다. 표준모형의 대칭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몇 년 연구를 해야 할 정도로 어렵지만, 한번 깨달으면 그 아름다운 모습에 감탄할 수 밖에 없다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나오는 울음을 억지로 참고 뒤로 물러나 바닥에 떨어진 칼 두 개를 주워들었다.“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해줘.”길잡이가 말했다.#3은하탐사력 328.3765년 0.7594시, 마르지에 파라디의 의식은 6만7539명의 동료들과 함께 벨라트릭스 주변을 돌고 있던 항성간 탐사선 니오룬의 가상현실 속 정원으로 ...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현미경으로 만난 세상“현미경을 처음 만나게 된 건 7살 때였어요. 집으로 찾아오는 놀이 선생님이 선물해 주신 작은 현미경이 무척 신기해서 가지고 놀았지요. 그러다 우연히 ... 친구들도 호기심을 좀 더 깊게 파고 들어보세요. 윤관우 친구처럼 재미와 성취감을 흠뻑 느끼게 될 거예요 ...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의견을 이메일(zzunga@donga.com)로 보내주세요. 다음 달에도 재미난 에피소드와 함께 찾아올게요! 일러스트 : 김윤재도움 : 케네스 리브레히트(미국 캘리포니아공대 물리학과 교수)의 논문 ‘The physics of snow crystals’과 블로그(www.snowcrystals.com), 데이비드 그리피스(미국 위스콘신대 수학과 ...
- [News & Issue]조류 발성도 ‘공기 반, 소리 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엘레만스 교수는 “새와 인간은 어릴 때 학습과정을 통해 언어능력을 획득한다는 게 공통점”이라며 “인간의 발성학습과 관련된 질병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27일자에 실렸다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비해 속도가 1억 배 빨랐다. 배 교수는 “이런 비교 방식으로는 디웨이브2X의 속도가 빠른 게 양자 때문인지, 기존 컴퓨터와 동일한데 좀 더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사용해서 속도를 높인 것인지 판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양자 어닐링(Quantum annealing) 양자 어닐링은 양자를 이용해 함수에서 최솟값을 ...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아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지 않다”며 “사람들에게 알리는 게 먼저”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여성환경연대와 동아시아 바다공동체 ‘오션’은 마이크로비드가 포함된 제품 사용을 줄이자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오션은 마이크로비드가 들어있는 제품인지를 바로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큰 벼슬을 가진 종류를 수컷으로 보고 있다.이렇게, 진화한 익룡의 식단 변화는 자신들에게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공룡시대를 대표하는 날짐승인 익룡이 비행능력이 아닌 걷는 능력과 식욕 때문에 진화했다니, 역설적이다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