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리 측정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66초폭의 호로 보이는가?그 답은 16만 9천 광년으로 이는 대마젤란운의 모든 수많은
별
들의 평균거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꽤나 만족스러운 답인 것이, 바로 과거에 추정했던 거리예측치와 제법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거대한 대마젤란운의 거리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 ...
벽지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꿈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뒤,
별
을 보고 농사일정을 잡았던 조상의 슬기를 되살리며 학부모와 학생들이 함께 4월의
별
자리를 관측했다.이날 행사를 이끈 이 모임의 대표 박종규 교사(예일국교)는 "앞으로 과학잔치를 원하는 벽지학교에서 연락을 해오면 찾아가겠다"고 밝혔다전국의 국민학교 교사 2백여명이 11년째 호주머니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가벼우나 진동과 균형 맞추기가 독일식보다 어렵다.이 모든 것을 종합해 천체의 종류
별
로 망원경을 선택해보면 달과 행성에 관심이 많은 초보자는 4인치 구경의 굴절망원경(f/10~f/15)이나 6인치 반사망원경(f/8정도)이 좋다. 그리고 마운트도 경위대식이면 족하나, 딥스카이 천체들의 안시 관측은 1 ... ...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간접적으로 알아 볼 수도 있다.이밖에도 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박제표본으로부터 연대
별
로 소량의 깃털을 채취해 분석하면 각 중금속 원소에 대한 오염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알아 볼 수 있다. 이것은 장래의 오염방지 대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제는 그런 보관법을 쓰지 않는다. 대신 공혈자 한 명의 혈장을 채혈 후 6시간내에 개
별
적으로 신선동결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신선동결혈장이다.신선동결혈장은 혈액량을 유지시켜 주는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혈액량이 부족한 환자에게 투여된다. 또 피브리노겐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야기는 국내에 UFO와 우주법칙(고려원), 우주인을 맞이하자(김영사), 그대 반짝이는
별
을 보거든(시어사)과 같은 책에서 자세히 소개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겠다.자연현상? 심리현상?지금까지 UFO현상의 전반적인 모습을 조망해 보았다. 이제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서 UFO현상이란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동쪽, 작은사자자리 그리고 처녀자리 109번과 110번
별
주위에 놓여 있지만 다른 봄철
별
자리에는 은하들이 거의 없다.봄철의 밤하늘은 은하들로 가득차 있다.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운 먼 거리를 적게는 수백만년에서 수천만년을 달려온 빛들임을 생각해 본다면, 그 희미한 작은 빛은 우주 역사의 ... ...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소형화가 역(逆)의 방향에서 추진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크기는 작지만 계산외에
별
기능이 없었던 전자계산기를 질적으로 컴퓨터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기업은 전자수첩보다는 노트북이나 팜톱(palm top)쪽으로의 개발방향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두번째 아인슈타인 고리와 관련하여 중재역할을 맡은 은하의 질량은 그 속의 보이는
별
들 질량의 8~16배쯤 되는 듯 하다. 이는 실제적인 증명은 되지못하지만 사라진 질량을 주장하는 편을 거드는 획기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A team of astronomers from the 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i ...
지구밖 생명체 연구와도 관련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인한 주기적인 변화가 측정될 수 있을 것이다.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케페우스자리의 α
별
과 HD 114762 등이 행성들을 거느린 항성이 아닌가 추측되고 있다.현재 천문학자들은 행성계의 생성기원에 대해 세련된 시나리오를 만들어놓고 있다. 하지만 이 시나리오의 유일한 샘플은 우리 지구가 포함된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