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이저로 원전 연료 만들 날 올까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단점이다. 시설을 소형화해 비밀리에 핵무기 재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황일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사일렉스는 원심분리 방식보다도 작게 만들 수 있다”며 “NRC의 승인을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화도 어렵다. 황 교수는 “상업화하려면 1000만SWU(우라늄농축능력을 ...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서울대 재료공학부 유상임 교수님 연구실에 지원해 눈물겨운(?) 대학원 생활을 시작했다. 박사과정 졸업 직전인 요즘 지금껏 진행된 많은 연구내용을 정리하면서 지나간 대학원 생활을 하나씩 돌이켜 보는 시간을 ... ...
- 재료공학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전자재료 등이 있다.3 어디에 있어요?전국의 수많은 대학에서 재료공학을 가르친다. 서울대에는 ‘재료공학부’, KAIST,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등 많은 학교에서는 ‘신소재공학부(과)’가 있다. 화공재료공학부, 나노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과 등 학과가 모두 재료공학을 가르치는 학과다.4 뭘 ... ...
- 따뜻한 기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얼마 전 집 근처에 있는 달빛마루 도서관에 다녀왔다. 개관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책들도 시설도 깨끗했다. 도서관 출입구에는 공항에서나 볼 수 있는 무인 감지기도 있고, 여러 권의 책을 한 번에 대출하거나 반납할 수 있는 기기도 있어 편리해 보였다. 그 곳에서 읽고 싶은 책을 대출하기 위해 회원 ... ...
- 독도의 괭이갈매기 탐방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떼를 지어서 바위 위를 날고, 먹잇감을 찾곤 하였다. 독도에 관광객이 많이 몰려와도 서울의 비둘기처럼 전혀 사람을 무서워하거나 피하지 않고, 바위틈에서 언제 나왔는지 아름다운 비행을 하고 있었다.(…중략…) 그러나 독도의 바다 속에 옛날에는 강치들이 살고 있었다는 것을 전해들을 수 ...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실제로 욕을 많이 사용하는 아이들에게서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이 관찰되었어요.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팀은 욕을 사용하지 않 는 아이들과 습관적으로 욕을 사용하는 아이들을 비교해 보았답니다. 그 결과 욕을 많이 쓰는 아이들이 인내심과 계획성이 부족하고 자기 제 어능력도 ... ...
- 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최대 발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몰랐다”며 눈시울을 붉혔다.예상보다 빨랐다!지난 4월 기자는 한국CMS그룹 책임자인 서울시립대 박인규 교수와 함께 CERN을 방문했다. 물론 최대의 관심사는 힉스 발견 여부였다. 기자는 만나는 사람마다 같은 질문을 던졌고 그들은 모두 “올해 안에 어떻게든 결론은 난다는 분위기”라고 대답했다. ... ...
- 한국 수학 천재, 세계 최고 수학 천재로!수학동아 l2012년 08호
- 209점을 받아 역대 최초로 종합 1위에 올랐다. 한국대표단 전원이 금메달을 받았으며, 서울과학고 1학년 김동률 군이 개인순위 2위를 차지했다.올해 대회에서는 100개국 모두 548명이 참가해 실력을 겨뤘다. 이번 대회는 상위 10%에게 주는 금메달 커트라인이 최근 들어 가장 낮을 정도로 문제의 난이도가 ... ...
- [시사] 수학이 톡톡! 토크 콘서트가 열리다!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수학을 알릴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을 품게 됐어요.유정곤 경기 호곡중 2서울대학교 교수님과 유명한 축구 해설위원님 두분 모두 만나기 어려운 분들이잖아요. 그런데 토크콘서트 형식의 강의라니 정말 설레고 신기했어요. 조금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책으로 볼 때와 달리 두 분의 ... ...
- 가슴 뜨거웠던 7일간의 기록, 국제수학교육대회수학동아 l2012년 08호
- 냈다.영국의 교사와 한국의 학생들이 만나다!영국 캠브리지대 제니 케이지 교수가 서울 상계동 용화여고 1학년 학생들에게 화상을 통해 프랙탈에 대한 수학수업을 진행했다. 제니 케이지 교수는 화상을 통해 학생들에게 프랙탈 이미지를 보여 준 다음, 질문하고 답하는 문답형 수업을 했다.한국의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