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심해 화산 활동으로 인해 따뜻한 물이 공급되는 장소다. 이 주변에는 태양 에너지가 아닌
열
에너지를 이용하는 독자적인 생태계가 조성돼 있다. 즉 지구에는 우리의 교과서에 나와있는 태양 에너지에 의존하는 생태계 외에 독자적인 생태계가 존재하는 셈이다.그렇다면 태양계 안에 있는 다른 ... ...
10년의 제품 수명 2주만에 테스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고려해서 다른 가혹 시험이 이뤄지는 경우도 있다. 핸드폰은 장시간 동안 고온을 맛보는
열
테스트를 거친다. 75℃의 고온에서 핸드폰이 얼마나 변형되는지, 그리고 이후 작동이 제대로 되는지를 평가받는다. 이 테스트를 받는 까닭은 실제로 이런 조건에 휴대폰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75℃는 ... ...
화성에서 발견한 물의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화성에 얼음이 정확히 얼마나 있을지 측정할 수는 없다.또 과학자들은 오디세이호의
열
복사 영상시스템(THEMIS)으로 이전에 확인됐던 화산 지역에 아직도 온기가 남아있는지를 알아보고 싶어한다. 만일 화성 표면 아래에 온기가 남아있다면, 이로 인해 얼음으로 가득한 영구동토층이 녹고 그 안에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인류는 이를 과일과 야채에서 메워왔다. 초기 인류의 화석이 과일이 풍부한 아프리카
열
대 지방에서만 발견되는 것도 그 이유 가운데 하나로 추정되고 있다.석기시대 사람들은 현재보다 3배나 많은 과일과 야채를 먹었다. 과일과 야채는 매일 1백g의 식이섬유를 공급했지만, 요즘 현대인은 대체로 20g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대류를 찍기 위해 마지막으로 생각한 방법이 ‘적외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열
을 담아내는 적외선 필름을 쓰면 물의 대류가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적외선 필름을 구하는 것이 문제였다. 코닥 같은 외국 필름회사에 적외선 필름을 신청하면 두달은 넘어야 받을 수 있었다.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막이 결국 충돌할 때 에너지가 나오고 우리우주는 빅뱅우주론에서처럼 가
열
돼 물질과
열
로 가득 찬다.2001년 봄에는 미국 프린스턴대의 폴 슈타인하르트 교수팀이 또다른 종류의 막 충돌이론을 제안했다. 특히 빅뱅의 버팀목인 급팽창이론을 도입하지 않고 우주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갓나온 개구리가 부르르 떠는 것은 몸에 묻은 흙을 털어 버리려는 것이 아니라 떨림으로
열
생산을 증가시켜 정상체온을 회복하기 위함이다.오랜 세월 동안 모진 풍파를 헤쳐 지금에 이른 각종 동물들. 이들은 생존을 위해 나름대로 독특한 체온유지 비법을 발전시켜왔던 것이다 ... ...
아이스크림 튀겨 먹는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물로 ‘살살’ 고루 섞어야 한다. 글루텐의 함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반죽을 숟가락으로
열
심히 휘저을수록 끈기가 많아져 튀김이 잘 되지 않거나 튀김의 부드러운 맛을 저해하기 때문이다.특히 낮은 온도의 물로 반죽할수록 글루텐의 활성을 막아주므로 반죽용 물에 얼음을 섞는 것도 좋은 ... ...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채식을 해야 당뇨를 치료할 수 있는 것도 물론 아니다. 당뇨의 식사 원칙은 적절한
열
량을 섭취하고 다양한 식품을 통해 각종 영양소를 균형있게 섭취하는 것이다.■ 어떻게 먹어야 할까 -입맛 서구화 막고 음식은 골고루 섭취한국인이지난1969년부터1998년까지30 여년 간 섭취한 식품량의 변화 경향을 ... ...
4. 10년 후 커다란 강 하나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해수를 담수로 바꾸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 에너지를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열
이나 심야의 남는 전기를 사용하는 기술이다. 고효율 담수화기술의 개발이 끝나면, 물이 부족한 여러 지역에 수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표수와 지하수, 대체수자원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은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