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부 맨틀 바닷물의 5배 물 포함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환경을 만들었다. 맨틀 하부에 존재할 것으로 여겨지는 주요 광물에 1천6백℃의 높은
열
과 대기압의 25만배에 달하는 압력을 가했다. 그리고 질량분석기로 암석이 얼마나 많은 수소를 포함하는지를 측정했다. 수소는 물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지질학자들이 당초 예상했던 ... ...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 심장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소모하도록 하는 새로운 엔진 기술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엔진의 안에서 일어나는
열
유체 현상을 규명해야 하고, 더 나은 기계시스템 개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KAIST 기계공학과 배충식 교수가 이끄는 엔진실험실에서 바로 이같은 연구가 한창 진행중이다.배교수는 최근 디젤 엔진을 중심으로 ... ...
디지털 시대의 인체 적신호 VDT 증후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제품으로 모니터 보안기 이외에도 각종 제품이 봇물 터지듯 출시되고 있다. 안구 부위의
열
을 흡수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해 피로를 줄여준다는 시력보호장치인 원적외선 아이마스크, 자세에 따라 모니터와의 거리와 키보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테이블, 딱딱했던 기존의 판 마우스 받침대 ... ...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채식을 해야 당뇨를 치료할 수 있는 것도 물론 아니다. 당뇨의 식사 원칙은 적절한
열
량을 섭취하고 다양한 식품을 통해 각종 영양소를 균형있게 섭취하는 것이다.■ 어떻게 먹어야 할까 -입맛 서구화 막고 음식은 골고루 섭취한국인이지난1969년부터1998년까지30 여년 간 섭취한 식품량의 변화 경향을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막이 결국 충돌할 때 에너지가 나오고 우리우주는 빅뱅우주론에서처럼 가
열
돼 물질과
열
로 가득 찬다.2001년 봄에는 미국 프린스턴대의 폴 슈타인하르트 교수팀이 또다른 종류의 막 충돌이론을 제안했다. 특히 빅뱅의 버팀목인 급팽창이론을 도입하지 않고 우주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
아이스크림 튀겨 먹는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물로 ‘살살’ 고루 섞어야 한다. 글루텐의 함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반죽을 숟가락으로
열
심히 휘저을수록 끈기가 많아져 튀김이 잘 되지 않거나 튀김의 부드러운 맛을 저해하기 때문이다.특히 낮은 온도의 물로 반죽할수록 글루텐의 활성을 막아주므로 반죽용 물에 얼음을 섞는 것도 좋은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인류는 이를 과일과 야채에서 메워왔다. 초기 인류의 화석이 과일이 풍부한 아프리카
열
대 지방에서만 발견되는 것도 그 이유 가운데 하나로 추정되고 있다.석기시대 사람들은 현재보다 3배나 많은 과일과 야채를 먹었다. 과일과 야채는 매일 1백g의 식이섬유를 공급했지만, 요즘 현대인은 대체로 20g ... ...
4. 10년 후 커다란 강 하나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해수를 담수로 바꾸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 에너지를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열
이나 심야의 남는 전기를 사용하는 기술이다. 고효율 담수화기술의 개발이 끝나면, 물이 부족한 여러 지역에 수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표수와 지하수, 대체수자원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은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갓나온 개구리가 부르르 떠는 것은 몸에 묻은 흙을 털어 버리려는 것이 아니라 떨림으로
열
생산을 증가시켜 정상체온을 회복하기 위함이다.오랜 세월 동안 모진 풍파를 헤쳐 지금에 이른 각종 동물들. 이들은 생존을 위해 나름대로 독특한 체온유지 비법을 발전시켜왔던 것이다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대류를 찍기 위해 마지막으로 생각한 방법이 ‘적외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열
을 담아내는 적외선 필름을 쓰면 물의 대류가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적외선 필름을 구하는 것이 문제였다. 코닥 같은 외국 필름회사에 적외선 필름을 신청하면 두달은 넘어야 받을 수 있었다.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