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원자세계 조작하는 21세기 연금술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과제제안서는 전문용어로 쓰여 있지만, 그가 적용한 소재연구 방법론인 구조관찰-특성
측정
-프로세스(가공, 합성방법) 변경의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최적의 소재가공조건을 찾는 과정이 담겨 있다. 즉 재료의 구조와 특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작업이다. 이는 선사시대부터 ... ...
비밀번호 훔쳐도 현금 인출 못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있다. 입력하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스크린을 누르는 압력이 다르기 때문에 센서가
측정
하는 전압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해 개인을 식별한다.화이트 박사는 “여러가지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손이 얼 정도로 추운 날 현금 인출기 스크린에 ... ...
지하철 참사 부른 유독가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Naval Engineering Standard) 협회는 탄화수소 화합물을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가스의 총량을
측정
하는 실험을 했다. 실험 결과(표 2)에 의하면 가장 치명적인 가스인 시안화수소가 폴리우레탄폼에서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폴리우레탄폼은 탄화수소 고분자 화합물인 폴리우레탄을 발포시켜 미세한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듣기만 하는 수동 소나(Passive sonar)와 박쥐처럼 자체의 소리를 내서 반사되는 음파를
측정
하는 능동 소나(Active sonar)가 있다 그러나 능동 소나는 자기 자신의 위치도 탐지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위급한 상황이 아니면 거의 쓰이지 않는다 최근에는 장거리 탐지능력을 높이기 위해 선체 뒤에 늘어뜨려 ... ...
페트병 속 빨대의 수중발레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압력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 이들은 어떻게 이들 재료로 압력변화
측정
장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왜 그럴까?!▶▶▶ 손으로 눌렀다가 떼면 빨대 내부에 어떤 일이 벌어질까?손으로 페트병을 누르면 그 안의 압력이 높아진다. 그러면 빨대 아래쪽 구멍을 통해 물이 빨대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에너지준위에만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양자효과는 거시적 세계에서는 그 효과를
측정
할 수 없으나, 미시적 세계에서는 효과가 두드러진다 즉 원자나 핵의 내부 세계 구조나 특성, 그리고 그들과의 운동을 규명하는데 있어 양자효과는 절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인공적으로 전자를 초미세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이렇게 원래 자료와 비슷한 유사자료를 만들고 염기서열들을 비교해 계산의 정확도를
측정
할 수 있다.두 대학 분석 결과 모두 범죄 입증계통유전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에이즈 재판을 다시 살펴보자. 이번 사건의 피해자인 간호사는 직업 특성상 의료 기록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었다. 간호사는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지구가 지니는 자기를 지구자기 혹은 지자기라 한다 이 지자기는 어떤 한 지점에서
측정
하면 항상 조금씩 변화하는데 때로는 돌발적으로 두드러진 변동을 보이는 수도 있다 그 원인은 태양의 흑점 부근에 많이 발생하는 폭발현상 때문이다 이 현상을 자기폭풍이라 한다6백50℃ 이상의 고온에서도 ... ...
미아위성 구출한 우주유영장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가방처럼 우주비행사의 등에 메는 형태로 생명유지장치, 통신장비, 자동안정장치, 원격
측정
기 등이 내장된 일종의 소형 우주선이었다. 하지만 우주공간에서 시도된 AMU의 성능시험은 실패하고 말았다. 황당하게도 그 이유는 우주비행사가 우주선의 후미에 장착된 이 장비까지 접근하는 유영과정에서 ... ...
① 돌리는 태어날 때부터 6살이었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리처드 커손 박사팀은 임의로 선발된 60세 이상 1백50명의 환자의 텔로미어의 길이를
측정
했다. 그 결과 짧은 텔로미어를 가진 사람은 감염성 질환을 가질 확률이 8배 높았으며 치명적인 심장마비로 고생할 확률은 3배 높았다. 그렇다면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았다는 것과 돌리의 조기노화 현상이나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