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과학동아 l2008년 04호
-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천리안 설명서-안경형 디스플레이구성 : 디지털 안경, 1000만 화소 카메라, 망원렌즈, 적외선렌즈사용법 : 다양한 렌즈를 필요에 따라 안경에 장착유통기한 : 평생 사용 가능사용대상 : 시각장애우와 일반인 모두 사용 가능주의사항 : 땅에 떨어뜨리면 깨질 수 있으니 ...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좋은 때는 4월 13일이다. 이날은 ISS가 우리나라 상공을 바로 가로질러 간다. 저녁 7시 50분쯤 북서쪽 카시오페아자리와 페르세우스자리 사이에서 2등급 밝기로 떠올라 5분 뒤 천정 근처에서 약 -4등급 까지 밝아진다. 그리고 2분 뒤 사자자리를 거쳐 동쪽 하늘 컵자리에서 -2등급 밝기에서 사라진다. ...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과학동아 l2008년 04호
- 분해되면서 오존과 수소이온이 발생한다. 이런 상태의 물을 활성수라 부르는데 pH가 2.8~3.0으로 산성을 띤다. 활성수를 테스트한 결과 미생물 살균력이 뛰어나 농약을 대신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 상추 같은 채소에 뿌려주면 일시적으로 성장을 멈추게 해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과일이나 ... ...
- epilogue 신체능력격차시대 올까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속도로 발전해 인간을 신체능력의 한계로부터 벗어나게 할지도 모른다”고 예측했다.2030년 바이오닉맨이 활보할 사회는 철이 모자처럼 굳이 안드로메다로 떠나지 않아도 지구에서 불로장생의 꿈을 이루는 일이 가능하지 않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바이오닉맨 part 1 못 볼 곳 없는 ... ...
- 거꾸로 솟는 고드름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4호
- 때문이에요. 4℃ 아래에서는 오히려 온도가 낮아질수록 가벼워져요. 따라서 어는점인 0℃에 가까운 물은 표면으로 올라와 얼기 시작해요.”아직도 이해가 안 간다는 표정의 엄마와 도무지 군. 닥터고글의 설명이 이어진다.“표면이 얼면 물은 그 아래에 갇혀요. 만약 물컵이 아래쪽부터 차가워진다면 ...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과학동아 l2008년 03호
- 만든 것이며 후자는 비교적 작은 입자로 공업용 다이아몬드(보츠)를 하나의 비트에 100~200개 정도 박아 만든 것이다 다이아몬드 비트(bit)를 사용하여 굴착하는 작업 일반 광산에서 흔히 사용하는 회전식 시추로서, 탐광을 목적으로 하는 시추 외에도 갱내에 수갱(竪坑) · 통기공 · 배수공 등을 ...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과학동아 l2008년 03호
- 가정에서 잠자고 있는 고물 휴대전화는 1억 대가 넘고, 이를 재활용하면 1년간 19만 4000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정도의 에너지가 절약된다.컴퓨터는 구입한지 1년만 지나도 구식이 되고 휴대전화는 번호이동성제도를 미끼로 뜨거운 유혹을 던진다. 오는 2013년 지상파방송이 디지털방송으로 전환되면서 ...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수 있다. 사업단은 지난 8년간 폐플라스틱에서 석유를 뽑아내는 연구를 추진해 연간 3000톤의 플라스틱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전자제품 쓰레기에서 귀금속을 회수하는 기술은 LCD에 바로 적용될 정도로 고효율과 실용성을 두루 갖췄다.이 단장이 즐겨 쓰는 말은 ‘온고지신’(溫故知新 ...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과학동아 l2008년 03호
- 기원전 3000년 경 얼어붙은 미라에서 십자가, 직선 모양의 문신이 발견됐고, 기원전 2000년 경 이집트의 미라에서도 문신이 발견됐다. 문신은 종교적 상징이나 충성의 표시, 단체의 아이콘 등으로 사용된 인류의 보편적인 문화 행위였다.하지만 문신을 새길 때 명심해야할 점이 있다. 한번 몸에 문신을 ...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3호
- 다른 이유는 쌀 속의 아밀로펙틴이라는 성분 때문이에요. 찰기가 많은 찹쌀은 거의 100% 아밀로펙틴으로 되어 있고, 밥을 만들어 먹는 멥쌀은 80% 정도만 아밀로펙틴으로 되어 있지요. 게다가 떡메로 쌀을 치는 과정에서 조직이 뭉쳐지면 더 쫄깃쫄깃해진답니다.셋, 설날에는 왜 가래떡을 먹나요?한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