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30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천사같던 여자친구가 전사가 돼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1.03
사실에 착안, PMDD 여성과 일반인 백혈구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했다. 그 결과 PMDD 환자는
뇌
에서 성 호르몬 분비 및 스트레스 민감도를 조절하는 ‘ESC/E(Z)’ 유전자 복합체가 과도하게 발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 때문에 PMDD 환자의 에스트로겐 발현은 적어지고, 프로게스테론 발현은 ... ...
미켈란젤로 ‘아담의 창조’의 비밀
팝뉴스
l
2017.01.03
미켈란젤로는 인간의
뇌
가 곧 신의 연장이거나 신의 선물이라고 봤을까요?
뇌
의 모습을 떠올리면서 보는 ‘아담의 창조’는 느낌이 또 사뭇 다릅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긴장할 때 숨을 빨리 쉬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7.01.02
부위다.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60명에게 두려운 표정과 놀란 표정을 보여주고 호흡과
뇌
활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두려운 표정은 숨을 들이마실 때 훨씬 더 빨리 인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놀란 표정은 호흡과 큰 관계가 없었다. 실험에 참가한 크리스티나 젤라노 노스웨스턴대 신경학과 교수는 ... ...
당신이 뚱뚱해지면 자녀의 발달이 늦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2
다만 기존 동물 실험 결과에 따르면 임신 중 산모의 비만은 염증을 유발해 태아의
뇌
에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로메인 바레스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팀은 남성의 비만이 정자의 유전자 발현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에드위나 융 NICHD 연구원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광우병 같은 프리온 질병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여러 퇴행성
뇌
질환들의 배후에는 변형된 단백질의 축적이 있다며 이 문제의 해결이 치료법을 찾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단세포 진핵생물인 효모를 이런 질환의 모델 생물로 선택해 연구를 진행했다. 효모를 연구해 어떻게 ... ...
원숭이가 말 못하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17.01.01
“원숭이가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해부학적 요인이 아니라 말을 하는 데 필요한
뇌
의 신경회로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016년 12월 15일자에 실렸다 ... ...
항상 업무 마감을 못 지킨다고요?...새해 시간 활용 전략은 이렇게
동아사이언스
l
2017.01.01
시간 활용 전략이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맥 다니엘 미국 워싱턴대 심리 및
뇌
과학과 교수 팀은 젊은 사람들은 과거 경험에서 겪었던 외부 요인을 고려하는데 비해, 노인은 내면적 요인을 바탕으로 시간 활용 전략을 짠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실험심리학저널 : 일반' 20일자에 ... ...
[카드뉴스] 기억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31
뇌
가 쪼그라드는 알코올성 치매와 알코올로 인한 비타민 B1의 결핍으로 근육 마비,
뇌
세포 파괴를 일으키는 베르니케-코르사프 증후군이 있습니다. 연말연시 술자리가 많아지는 요즘입니다. 함께 이야기할 추억을 잊지 않기 위해서라도 과음은 하지 않는 편이 좋겠습니다. - 원문 : 동아사이언스 ... ...
보청기 착용, 빠를수록 좋다
포커스뉴스
l
2016.12.29
분별하는 어음변별력도 함께 저하된다. 오랫동안 명확한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면
뇌
로 전달되는 소리 자극이 줄어들면서 인지력과 기억력이 점점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고립감과 우울감이 커지면서 인지기능 저하를 가속시켜 치매의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미국에서 ... ...
현미경으로 관찰가능한 거대(?) 인공세포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8
제작되는 만큼 향후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다. 최명철 KAIST 바이오 및
뇌
공학과 교수(사진) 팀은 최시영 KA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비누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해 수 ㎜ 수준의 대면적 인공세포막 제작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세포막은 세포 내외의 물질 교환이나 신호 전달을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