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분야로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조언해주세요!박재일 수학과 친해지면 좋아요.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진학할수록 수학이 점점 어려워지고 왜 이 내용을 배워야 하는지 궁금할 때도 있어요. 하지만 새로운 분야에 필요한 수학은 학교에서 배우는 기본 수학 개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결과예요. 2013년, 초등학교 5학년이 되면서 지사탐 1기로 활동을 시작했는데, 지금은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있어요. 8년간 저희가 올린 탐사 기록만 해도 1만 건이 넘더라고요. 처음엔 생물에 대해 아는 것이 전혀 없었는데, 매년 탐사를 하면서 탐사 실력이 늘었죠. 지사탐 활동으로 양질의 자료를 ... ...
- 탐험은 계속된다! 2020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받고, 스스로 연구 주제를 선정해 탐험하는 미래세대 러닝 프로젝트. 초등 고학년부터 고등학생까지 참여할 수 있다. 2기인 2020년에는 7개 분야(로켓, 인공위성, 게임, 키네틱아트, 자율주행, 생태, 공룡)에 참가한 학생 50여 명이 탐험에 성공했다. 또한, 인천교육청 내 학교 동아리 ‘스쿨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길이와 세로 길이 비율은 물론이고, 턱과 코 사이 길이와 코와 눈썹 사이 길이의 비율 등도 황금비율을 따르지요. 이번 호에서는 엔트리의 인공지능 기능으로 여러분 얼굴에 황금비율이 있는지 찾아볼 거예요. 황금비율을 재는 여러 기준 중에, ‘눈과 눈 사이의 거리’와 ‘입술의 너비’의 비율인 ... ...
- [과학동아 천문대] 이달의 우주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별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에요. 혜성이나 소행성 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이나 우주 먼지 등이 지구의 중력에 끌려 들어와 매우 빠른 속도로 지구 대기와 부딪혀 타오르는 현상이지요. 그 결과 빛과 열을 낸답니다. 별똥별을 만드는 우주먼지는 어떻게 생길까요? 질량이 큰 천체는 중력이 세요. ... ...
- DBTI로 내 동물 부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감시병이 포식자가 오는지 감시하는 동안 같은 집에 사는 가족들은 식사를 하는 등 협력 생활을 하지요. 반면 사막여우는 같은 사막에 살지만 독립적인 성향이 커요. 야생에서의 생태를 이해해야 동물원에 사는 동물이 행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알 수 있어요. 동물이 본성을 발휘할 수 있게 ... ...
- 좋은 동물원이 되고 싶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7마리였던 야생 개체 수가 2019년 337마리로 늘었어요. 이외에도 검은발족제비와 붉은늑대 등이 동물원 덕에 개체 수가 늘었고, 세계동물원수족관협회(WAZA)는 매년 약 3000억원 이상을 야생생물 보전 활동에 기부해요. 이형주 어웨어 대표는 “동물원이 전시보다는 보전 노력에 힘써야 사람들도 ... ...
- [에디터 노트] 공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탐사선의 시료 채취 임무를 서술한 리포트, 야생동물 구조현장의 경험을 담은 연재 등에 이런 철학을 담고자 노력했습니다.2021년은 인류에게 기념비적인 해가 될 것입니다. 2015년 말 채택돼 2016년부터 공식 발효된 파리협정이 규정하는 ‘신 기후체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해입니다. 파리협정은 ...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박쥐는 옮기고 닭은 안 옮기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얼마나 강하게 결합하는지 계산했다. 그 결과, 닭이나 돼지 등의 경우 ACE2 단백질의 돌연변이 때문에 스파이크 단백질과의 결합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와 숙주세포의 결합력이 약하면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 쉽게 침투할 수 없다. 실제로 닭이나 돼지는 코로나1 ... ...
- 5만 년 전 한반도에 거대 운석이 떨어졌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약 6cm 크기의 암편 하나를 박편 관찰용으로 만들기 위해 해머로 내리쳤다. 원래는 이등분 할 생각이었으나 예상과 달리 암편이 3개의 큰 조각으로 쪼개졌다. 쪼개진 면에서 두 눈을 의심할만한 구조들이 보였다. 바로 충격원뿔구조였다. 가장 강력한 운석 충돌의 증거로 여겨지는 바로 그 증거가 ... ...
이전3153163173183193203213223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