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의 진화! 인류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하지만 환경은 이미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없다.인간의 진화과정은
학자
에 따라 의견이 다르지만 가장 널리 인정되는 단계는 오레오피테쿠스→드리오피테쿠스→파란트로푸스→네안데르탈인→크로마뇽인(현생인류)이다. 산의 원숭이라고 불리던 오레오피테쿠스는 생명의 나무에서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도입된 처방이 풍부화 프로그램이다. 비교심리학의 1인자인 미국 하버드대 행동심리
학자
로버트 여키스 박사가 1920년대에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영장류 실험동물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생활환경을 바꿔준 것이 시초다. 1940년대 들어서며 스위스 취리히 동물원에서 사육 동물을 대상으로 ... ...
끝나지 않은 물리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도덕적 신념에 반하는 명령을 내린다면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약 50년 전 사회과
학자
스탠리 밀그램은 이런 의문에서 이른바 복종실험을 했다. 이 책은 양심과 권위 사이의 갈등으로 생긴 딜레마에서 개인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그 원인은 어디에 있는지 살펴본다.낙관적 생각들존 ... ...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 ...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점을 봐도 알 수 있었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맞춤 약을 개발하기 위해 세계의 과
학자
들이 모여 회의를 열기도 했다.아프리카 케냐에서 활동 중인 식량 문제 해결 단체‘국제농업연구자문단’에서 어린이와 여성의 교육을 연구하고 있는 비키 윌데 박사. 아프리카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 ...
출동! 동물흔적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도 있다고 해. 실제로 야생 동물을 찾아다니는 생태
학자
와 동물
학자
들은 야생 동물이 남긴 흔적을 이용하거든. 어떤 흔적으로 누구를 만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넌 뭘 먹었니?매, 부엉이, 논병아리 등의 새는 소화가 안 된 먹이의 일부분을 둥글게 뭉쳐서 다시 토해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현재 국제미작연구소에는 존 쉬히 박사팀을 포함해 전 세계 곳곳에서 온 1000여명의 과
학자
와 연구원이 제2의 녹색혁명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농촌진흥청과 작물시험장에서 3~4명의 연구원과 주재관을 파견해 연구하고 있다. 필리핀은 열대기후지역으로 1년에 2~3번의 농사를 지을 수 있어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시멘트 대체소재인 무기페이스트를 개발하는 연구논문을 영어 포스터로 준비했고 일본
학자
를 만나서는 일본어로 설명했어요. 학회에 다녀와서는 환경 선진국 일본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싶어졌어요.” 이지현 씨는 대학 2학년 때부터 ‘꽃보다 남자’ 같은 일본 드라마를 보며 일본어를 배웠고, ... ...
우리 문화유산 속 아름다움, 금강비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처마까지 포함한 폭은 약 1.618이 된다. 그래서 무량수전을 황금비례와 연관지어 해석하는
학자
도 있으나, 무량수전 용마루를 기준으로 할 때 가로, 세로의 비는 약 1.414:1이 된다. 이를 ‘금강비례’라고 하는데, 여기서 1.414는 2 의 근삿값으로 한 변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다(그림).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추세다.우리도 지구형 외계행성 찾는다 2005년과 2006년, 그리고 2008년에 우리나라 과
학자
들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팀이 외계행성을 발견했다고 언론매체에 크게 보도된 적이 있다. 특히 지난해 2월에는 태양계의 목성-토성 시스템과 매우 유사한 외계행성계를 처음 발견해 ‘사이언스’에 논문을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