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2,90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11
파악하는 것은 당연히 어렵다. 또 그런 어려움이 현재도 과학자들로 하여금 양자세계의
개념
적인 이해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인상을 갖게 만드는 게 사실이다. 이런 문제를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재검하려는 노력 중 하나가 바로 요새 자주 이야기되고 있는 초대칭성 이론이다. 이처럼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10
계산이 요구된다. 여기서 이를 수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가치’와 ‘인센티브’의
개념
이 등장한다.가치는 쉽게 말해 상대보다 자신이 승리할 수 있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지 보여 주는 수다. 그림 ❸과 같은 게임판에서는 세로가 가로에 비해 승리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1가지 더 많다. 따라서 이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10
생각하거나, 첨단 로봇기술을 규제하려는 수단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로봇윤리
개념
을 최초로 세운 이탈리아 국립로봇연구원 장마르코 베루지오 교수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윤리는 로봇기술을 반대하는 논리가 아니다”라며 “로봇기술의 긍정적 확산을 위해 우리가 지금 ...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
과학동아
l
201410
나고 심지어 장마철에는 하수가 역류하는 불상사도 일어난다.최근 이런 문제를 해결할 신
개념
빗물받이 뚜껑이 개발됐다. 최원철 설송 대표는 “쓰레기는 막고 물만 흘려 보낼 방법을 고심하다가 물의 비중이 크다는 점에 주목했다”며 “빗물 양에 따라 모양이 바뀌는 탄성 있는 차단판을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10
나가지 못하는 지역’을 정했다. 태양권의 경계인 태양권계면 역시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개념
이고 측정은 이뤄진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나 덕분에 처음으로 그 존재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었다.내가 여기까지 오는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태양권계면은 한 번에 그냥 통과할 수 없다. 그보다 30~40AU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10
한꺼번에 볼 수 있는 존재가 아니면 자신이 속한 우주밖에 볼 수 없으므로 확률이라는
개념
이 이상해진다.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많은 물리학자들이 다세계 해석을 지지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그 지긋지긋한 양자 측정 문제를 간단히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는 그냥 슈뢰딩거 ... ...
[특별인터뷰 1] “수학 배워서 뭐 하냐고 묻는 친구들에게 수학동아 소개해 줄래요!”
수학동아
l
201410
우리나라 청소년 중에 수학이 재밌고 즐겁다고 말하는 학생이 몇이나 있을까. 게다가 ‘중2병’이란 신조어가 있을 만큼 예민한 청소년에게 수학은 더욱 멀게만 느껴 ... 잘 이해되지 않는 친구들에게도요. 수학동아를 읽으면서 익숙해진 덕분에 낯선 수학
개념
도 잘 이해할 수 있거든요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
수학동아
l
201410
. 면적도 결국 수가 아니냐고 항의할 수도 있지만, 사실 면적은 그 자체로 정의가 잘 된
개념
이고 수로 해석하는 데는 또 다른 단위가 필요하다. 이 말의 뜻을 이해하려면, 면적 두 개의 크기를 비교해 보라(그림❺). 어느 쪽이 큰지를 정하는 데 사실은 단위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 그런데 여기서 또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
과학동아
l
201410
생각한 것이다. 이게 바로 도시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수직도시’라는
개념
이다(물론 수직도시라는 말은 정식 용어가 아닌 비유적 표현이며, 르코르뷔지에도 그런 말을 쓰지는 않았다). 초고층건물은 부담이다현대 초고층건물은 르코르뷔지에의 이상과는 완전히 딴판이다. 주변에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10
기계가 있다면 공부하기가 얼마나 편할 것인가. 이는 사물인터넷(IoT)보다 훨씬 진보된
개념
이다. 일종의 ‘뉴로IT(Neuro-IT)’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외부기기와 뇌가 직접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면, 사람의 생각만으로도 모든 걸 통제할수 있다.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특정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