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d라이브러리
"
순
"(으)로 총 849건 검색되었습니다.
날아라~, 수리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4
‘수리온’이랍니다. 독수리를 뜻하는 ‘수리’에 완전하다는 뜻의 ‘온’을 합쳐 만든
순
우리말 이름이지요.비행기는 보통 앞으로 날아요. 하지만 수리온은 마치 게가 걸어가듯 옆으로도 날고, 전갈처럼 뒤로도 날아요. 스키를 타는 것처럼 S자 모양으로 날아갈 수도 있죠 . 또 한국에 산이 많다는 ... ...
[한의학은 과학인가?]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12
유물일 뿐일까. “흥미로운 결과네요.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침술의 효과를 다 설명할
순
없지요.”한국한의학연구원 침구경락연구센터 최선미 박사(한의사)는 침의 진통 메커니즘을 밝힌 최근 연구 결과에 그다지 놀라지 않는 눈치였다. 신경과학분야의 최고 저널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12
서킷은 분명히 F1 팀과 자동차 동호인에게 흥분과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내년 10월 중
순
에 뜨거운 열기를 느낄 수 있는 또 한 번의 기회가 제공된다. F1 머신에 사용된 첨단 기술과 경기 노하우, 드라이버에 대해 관심을 가져본다면 내년에 더욱 재밌는 F1 경기를 즐길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150dB의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12
길을 택했다.자유로운 연구의 토대가 됐던 왓슨 연구소도 그를 영원히 담아둘
순
없었다. 미국 기업들이 경쟁에서 서서히 밀려나고 실적이 악화되면서 IBM은 왓슨 연구소에서 기초과학 연구 조직을 정리했다. 1987년, 만델브로는 30년 만에 IBM에서 나와 예일대 수학과로 자리를 옮겼다.이곳에서 그는 ... ...
함께 그려 보는 프랙탈 아트
수학동아
l
201012
머릿속에는 온통 프랙탈 생각뿐이었다. “아…나도 프랙탈을 그려볼
순
없을까?” 그
순
간 문득 프랙탈 아티스트 박보석 교수님이 떠올랐다. “교수님! 제게 프랙탈을 그리는 비법을 전수해 주십시오.” “조아브로, 미안하지만 프랙탈 아트는 ‘무작정 따라 하기’로 가르쳐 줄 수가 없단다.”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12
근접해서 현재의 모습을 관측해야 한다. 서 과장은 “기상1호는 태풍의 눈까지는 들어갈
순
없어도(사실 어떤 배도 그런 일은 하지 못한다!) 최대한 근접한 거리에서 해양과 기상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근해에 태풍이 접근했을 때 얻는 정보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12
”불평 가득한 목소리가 지오 무리를 향해 날아왔다. 관복을 입은 대신들이었다.
순
간 천복과 장도사는 귀신이라도 본 듯 소스라쳤다. 두 사람은 다급히 무릎을 꿇더니 머리가 땅에 닿도록 허리를 구부려 절을 했다. 천복은 뻣뻣이 선 지오의 옷자락을 잡아당기며 입술을 오물거렸다. 천복의 입술이 ... ...
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11
전문가마다 수학자의 업적에 대한 평가에서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그렇지만 상위
순
위는 대체로 비슷했다.그런데 피타고라스는 알아도 푸앵카레나 칸토어, 괴델은 잘 모를 것이다. 푸앵카레 같은 현대 수학자가 만들거나 밝힌 수학적 업적은 대학교에서나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초·중·고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수학동아
l
201011
것을 귀류법을 써서 증명했다. 귀류법은 수학적인 증명방법 중 하나로 가정을 부정해 모
순
을 이끌어 내는 방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를 알면 게임은 100전 100승!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 제4게임 짝수를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11
숫자는 25일까지는 줄어들다가 48일이 지나자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25일 이전까지는
순
수하게 발효가 진행되다가 그 이후에는 발효와 부패가 동시에 진행됐다고 생각할 수 있다.즉 이때까지 온도를 천천히 내리면서 김치를 익히다가 숙성이 어느 정도 진행된 15~20일 경에는 영하 1℃ 부근, 즉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