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7,75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서해 최북단을 지켜온 점박이물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
때문에 점박이물범을 사냥하는 것은 금지돼 있어요. 하지만 종종 물고기를 잡기
위
해 쳐놓은 그물에 걸려 죽는 경우가 있어요. 혹시 바다에서 곤경에 처한 물범을 본다면 바로 119로 신고해 주세요~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01
완전히 같다는 것이지요.충전하면서 달리는 자동차임 교수팀은 2013년에 도로
위
에 무선충전도로를 설치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며 달리는 실험에도 성공했습니다. 도로에 설치된 송신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니 기존 전기자동차에 비해 배터리 용량도 훨씬 줄어들었지요. 서울대공원에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701
특성 때문에 제일 낮은 성씨의 다양성을 보인다.또 전라도가 성씨 구성의 다양성에서 하
위
를 차지하고 있는데, 대부분 농업기반의 지역으로 산업화와 도시화의 물결에서 가장 소외된 지역이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 추정된다.안동과 ‘사드 배치’의 성주, 고유한 성씨 구성 보여 성씨 구성이 ... ...
Part 6. 특이점 없애기
과학동아
l
201701
상대성이론을 기술할 때 리만 기하학이 이미 있었듯 양자중력이론을 정립하기
위
한 수학이 이미 발전해 있다는 점이다. 잘 엮고 다듬는 일이 남았다. 이론의 특성상 실험으로 직접 검증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이 예측하는 여러 현상이 실제 관측과 맞아 떨어진다면, 그것이 곧 ... ...
[Issue] 기후
위
협하는 비행기구름
과학동아
l
201701
결정적인 원인은, 대기의 상태가 다르기 때문이다.비행기구름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주
위
의 차갑고 건조한 공기와 섞여 사라진다. 하지만 대기가 무척 습할 때에는 비행기구름이 두껍게 생기고, 시간이 지나도 잘 사라지지 않는다.오히려 주변으로 옅게 퍼지면서 권운으로 발달한다. 켐트레일의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701
소통두 사람은 각자 자기 분야에서 실력을 갖추는 것이 융합연구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
한 기본 조건이라고 말했다. 한 사람이 잘 하지 못하면 새로운 것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또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동연구기는 하지만 각자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기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
메시지가 왔는지도 알려 준다.내 맘대로 만드는 아두이노 시계 아두이노를 이용해 5분 단
위
로 특정한 LED에 불이 들어오게 만든 한글 시계. 아두이노는 코딩에 따라 움직이는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는 개발도구와 각종 센서, 등을 말한다. 아두이노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와 기능이 있는 시계를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
수학동아
l
201701
게 있었다.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에게서 수백 개씩 들어오는 생일 축하 메시지 따
위
에는 관심도 없었다. 유일하게 의미 있는 축하 메시지가 있었다. 바로 엄마가 보내는 편지였다.하림의 엄마는 하림을 낳은 직후에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수많은 사람이 이유를 궁금해하는 수수께끼였다.그런데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
과학동아
l
201701
걷는 것만으로도 만족했지만, 동작이 부자연스럽고 소리가 심했다. 단점을 개선하기
위
해 연구를 거듭한 끝에 대나무로 만든 기계를 올해 메이커 페어에 들고 나왔다.미국의 유명 텔레비전 예능 시리즈 ‘미스버스터즈’의 출연자이자 전자공학자 그랜트 이마하라는 “메이킹은 우리를 익숙한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
과학동아
l
201701
현대 입자이론으로는 아직 재연소 메커니즘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이런 문제를 풀기
위
해 여러 대안 이론이 나왔다. ‘빅 바운스’는 현재로부터 시간을 거꾸로 돌렸을 때, 우주가 수축하다가 다시 커진다는 모형이다. 특이점 문제를 해결하려고 제안됐다. 상대성이론에서 약간의 대칭성을 깨서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