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기
장기간
긴
오래
오랜기간
기드림
specialty
d라이브러리
"
장기
"(으)로 총 1,6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04
Platon, ca. 429 ~347 BC)은 소리는 최종적으로 ‘간’에서 듣는다고 생각했답니다. 인체
장기
중 가장 부드러워서 작은 떨림에도 민감한 것을 보고 상상한 것입니다. 또한 그는 피타고라스파의 생각에 동조했습니다. 피타고라스의 음향학 연구를 천문 연구와 연관 지어 생각했죠. 지구에 있는 작은 물체가 ... ...
Part2. 최강 독 TOP 15
과학동아
l
201204
흡수돼 문맥을 거쳐 간으로 들어가고 간에서 분해(해독)된 뒤 나머지는 혈액을 통해 각
장기
나 기관으로 운반돼 독성을 나타낸다. 그런데 주사기를 이용해 직접 투여하면 소화액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간을 거치지도 않아서 투여된 물질이 화학적 변화없이 신속하게 몸속으로 흡수된다.다음이 ... ...
달콤함이 가득 달달공장의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4
지방 합성효소가 잘 활동하지 못하게 해서 살이 찌지 않게 한대. 게다가 백혈병치료제,
장기
보존액 같은 의약품에는 포도당을 변형한 ‘알로오스’가 이미 쓰이고 있단다. 설탕이 항생제의 효과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미국 보스턴대학교 제임스 콜린스 박사가 균을 죽이는 항생제와 설탕 한 ... ...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의 첫 출발
수학동아
l
201204
활동하게 됩니다.이제 독자기자단의 끼와 재능을 엿볼 시간입니다. 바로 자기소개와
장기
자랑이 준비돼 있거든요. 누가누가 더 큰 박수를 받는지 지켜볼까요? 우리 손으로 만든 수학동아 표지!수학동아의 귀염둥이 피코입니다. 저는 지금 독자기자단모둠 활동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독자기자들이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04
뒀다”고 밝혔다.세계의 과학도시와 경쟁할 한국의 과학도시가 탄생할까. 분명한 것은
장기
적인 안목으로 계획을 세우고 투자를 하지 않고서는 격차를 줄이기가 절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뒤쳐지지 않으려면 계속 달려야 하는 ‘붉은 여왕 효과’를 극복하려면 더 빨리 달리는 수밖에 없다.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04
신체의 각 기능에 최적화된 ‘수신코일’의 개발이다. 고주파를 맞고 방출되는 전자파는
장기
나 신체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MRI 영상을 찍을 때 신체의 특성에 적합한 수신코일을 사용하는데 정확하고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 업그레이드된 수신코일을 내놓겠다는 것이다.MRI로 촬영한 ... ...
개발도상국 환경 문제 해결사
과학동아
l
201203
게 가장 중요하다. 국제환경연구소도 당장은 어렵지만 개도국에 연구실을 마련하고
장기
체류하며 연구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허 소장은 “현재 수질오염이 심한 캄보디아에서 우물물의 오염도를 측정해 주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실제 도움이 될 수 있는 일, 주민에게 필요한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03
모두 사용한다. 이러한 돌고래의 소리를 이용하면 사람의 몸속에 암세포가 있는지,
장기
에 이상이 있는지도 알 수 있다고 하니 미래에는 돌고래를 수족관이 아니라 건강검진기관에서 만날 수도 있겠다. 코끼리는 12Hz 정도의 초저음파를 이용해 의사소통한다. 낮은 소리는 높은 소리에 비해 주위 ... ...
[3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03
조 양의 경우처럼 생명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장기
이식밖에 없다면 이식할 수 있는
장기
의 범위를 현실에 맞게 넓혀야 한다는 것이다.스마트TV 접속제한, 무슨 기준으로?지난 2월 10일 KT가 삼성전자의 스마트TV 서비스 접속을 제한했다. 스마트TV 사용자가 인터넷 망을 통해 고화질 3D 영상을 ... ...
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과학동아
l
201203
29일이다. 그의 연구는 당시 잔인하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이를 통해 축적된 지식은 훗날
장기
이식의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세균을 찾아서Part3. 별 걸 다 맡아!Part4. 사체는 내 사랑Part5. 원초적인 더러움,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