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2,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03
- 집적된 오늘날의 컴퓨터 한 대를 작동시킨다고 가정하면 1GW급 핵발전소 1기가 필요할 정도다. 게다가 BJT는 크기도 커서 수십억 개를 작은 회로에 집적시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반면 모스펫은 전류가 아닌 전압으로 작동시켜 전력 소비가 적고, 소자를 작게 만들 수 있어서 고도로 집적시킬 수 ... ...
- [공룡은 왜?] 꼬리뼈에 이빨 자국이? 공룡의 사냥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03
- 중생대 백악기(9700만 년 전~1억 1200만 년 전)에 살았던 육식공룡으로, 몸길이가 15m나 될 정도로 거대했답니다.스피노사우루스는 악어처럼 생긴 턱이 가장 큰 특징이에요. 다른 육식동물과 달리 주둥이가 뾰족한 형태로 매우 길고 좁아요. 이빨도 ●원추형으로, 매우 길쭉하고 날카롭지요.그 이유는 ... ...
- 어기면 일어나는 비극, 해녀의 법칙수학동아 l201703
- 누가 높은 가격에 팔리는 귀한 어패류를 보고도 두고오고 싶겠는가. 더욱이 수확하는 과정도 보통 힘든 일이 아닌데 말이다.이상적인 상황은 최대 다수가 최대 만족 또는 행복을 누리는 ‘공리성의 원리’가 적용될 때다. 해녀와 스쿠버 다이버를 포함해 해산물 채취를 원하는 모든 사람이 각자 ... ...
- Part 2. 왜 그때는 몰라줬나요?수학동아 l201703
- 집합론을 질병이라 말했고, 스승님인 레오폴트 크로네커조차 저를 사기꾼이라고 부를 정도였으니까요.사실 계속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하는 무한은 이전부터 수학책에 자주 등장했어요. 제가한 일은 단지 ‘무한은 이거야!’라고 똑 부러지게 ‘정의’한 것뿐이에요. 전에는 무한을 명확하게 ... ...
- [과학뉴스] 한반도까지 날아온 아프리카 화산재 첫 관측과학동아 l201703
-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했는데, 화산재 농도가 절반으로 감소하는 반감기는 117일 정도였다.노영민 교수는 “라이다 시스템으로 성층권 내 화산재를 관측할 수 있다는 걸 확인했다”며 “백두산 화산 폭발 등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한반도와 그 주변 화산 폭발 재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3차원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성능 수천 배 높였다과학동아 l201703
- 픽셀 수의 한계 때문에 기존의 공간광변조기로는 재생화면의 크기가 1cm, 시야각 3° 정도가 최대였다. TV 화면은 구현하기 어려웠다.연구팀은 공간광변조기에 거울과 광학확산기 두 개로 빛을 넓게 산란시키는 방법을 적용했다. 그 결과 가로와 세로, 높이가 각각 2cm, 그리고 시청 각도가 35°까지 ... ...
- [Issue] 독극물 괴소문의 진실과학동아 l201703
- 않습니다. 호흡을 통해 사람에게 마취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수 분간 들이마셔야 할 정도로요. 실수로 마셨다면 심호흡을 크게 해서 마취제 성분을 좀 더 빨리 빼낼 수 있습니다. 약 탄 주스, 맛 못 느낄까?최근 한 매체에서 ‘데이트 강간 약물’로 알려진(실제로는 수면제) 아티반, 졸피뎀과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03
- 문제였다. 우리나라에 건축사는 1만 명이 넘지만, 한옥 설계가 가능한 사람은 고작 60명 정도다. 대책이 필요하겠다고 생각한 전 교수는 한옥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공간 정보만 설정하면 알아서 한옥을 설계하는 프로그램이다.“이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전국의 고급 한옥 160채를 다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착한 상상력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과학동아 l201703
- 도와주는 ‘Re-ball’이었다. 원정대가 방문한 마을은 거리 곳곳에 쓰레기가 널려 있을 정도로 분리수거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 부족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를 제작했고, 폐품을 활용해 어린이 교육도구를 만드는 방안을 제시했다.원정대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소감은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03
- 군도의 콩스피오르드의 안쪽은 빙벽이 녹아서 떨어져 나온 유빙들로 접근이 불가능할 정도였다. 어쩌면 십 수 년 뒤에는 저 빙벽들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닐까 하는 불안감이 들었다. 필자는 이곳에서 기후변화에 의한 미생물 생태 환경 변화를 추적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총 다섯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