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
과학동아
l
201209
하고 싶은 학생이라면 NUS로 오라”는 이야기를 하며 “물론 학문적으로 뛰어나야 하며
지적
인 호기심도 많았으면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 “학생들이 리더십을 갖고 영향력 높은 연구와 공동체에 대한 기여를 통해 아시아와 전세계에 기여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 ...
내 곁에 외계인
과학동아
l
201209
덕분에 조금 알려졌다. 그 동안 많은 사람들은 우리처럼 말하고 생각하는 ‘외계인(외계
지적
생명체)’만 생각했다. 그래서 우주도 아닌 지구에서, 그것도 현미경으로 봐야만 보일 정도로 작은 미생물이 비소를 먹는지 여부로 논쟁하는 것 자체가 충격이었다. 하지만 ‘우주생물학’이라는 말을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
과학동아
l
201208
육체적 능력의 끝을 볼 수 있었던 것처럼 말이다. 힉스 입자를 발견한 것은, 인간의
지적
능력의 산물인 표준모형의 눈동자에 점을 찍어준 것과 같다. 세상이 바뀌었는가. 그렇다. 우리가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힉스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최대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08
태권도의 위기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경기의 재미와 심판의 공정성이 떨어진다고
지적
했기 때문이다. 이 중 심판의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답안이 바로 전자호구다. 펜싱은 1916년부터 전자호구를 사용했다.문화체육관광부의 황종학 책임연구원은 “태권도 전자호구가 경기의 공정성뿐만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08
화산 폭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런 기록은 없다. 전문가들이 이런 한계를 자주
지적
했지만 사람들은 폼페이의 최후를 연상해서인지 이 설을 쉬이 버리려 하지 않는다.사람들은 발해의 넓은 영토에 관심이 많다. 그런데 신라 통일 전후에 시작된 외계충격 현상은 발해 지역에서도 예외가 ... ...
사람도 물 위를 달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208
사람도 바실리스크 도마뱀처럼 물 위를 달릴 수 있을까. 바실리스크가 물 위를 달릴 수 있는 이유는 체중이 가볍고, 발의 면적이 넓으며, 한 발이 빠지기 전에 다른 한 발 ... 제자리 뛰기를 한 점, 중력이 변하면 물의 성질도 변하는 것을 반영하지 못한 점을 이번 실험의 한계로
지적
했다 ... ...
INTRO. 힉스
과학동아
l
201208
된 답을 해보자. “힉스 입자가 만물에 질량을 준다” 등, 언론에 잘못 알려진 사실도
지적
한다. *관측의 의미에 대해서는 PART4 참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힉스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최대 발견”PART 2. 힉스, 등장에서 관측까지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 ...
비소 박테리아는 없었다!
과학동아
l
201208
인 대신 생체분자에 쓰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도 왜 검증하지 않느냐는
지적
이 많았다.NASA 발표 후 19개월이 지난 ‘사이언스’ 7월 8일자 온라인판에 이 발표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논문 2편이 실렸다. 하나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로즈매리 레드필드 교수팀의 논문이고 다른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08
하지만 정 원장은 “배트맨이 다리뿐만 아니라 팔도 움직이지 못한 것은 옥의 티”라고
지적
했다. 허리보다 높은 곳에 있는 팔까지 마비가 오려면 허리가 아니라 경추(목의 척추 뼈)에 손상을 입어야만 한다. 다만 재활을 5개월만에 해낼 가능성에 대해 정 원장은 “배트맨은 일반인보다 척추 뼈 ... ...
Epilogue. 완벽한 지구는 어디에
과학동아
l
201207
생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우리처럼 친구가 사는 행성을 찾아우주를 탐색하고 있는 외계
지적
생명체를 상상해 보자.그들이 과연 지구를 후보에 넣었을까.이 그림에서처럼 다양한 풍경의 행성에 사는 생명체들은,망원경으로 관측한 지구의 풍경에 놀라고 말았을 것이다.우리에게 천혜의 환경인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