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
한천
동계
동기
동절
d라이브러리
"
겨울철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7℃ 이상 내려가는 강한 한파는 음의 북극 진동 시기에 훨씬 많이 발생한다. 평균적으로
겨울철
에 10회 정도 발생하는 한파 가운데 약 30%는 북극 진동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 북극 진동과 맞물려 일어나는 한파 발생의 변화는 특히 늦겨울~초봄에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꽃샘추위로 알려진 봄철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완전히 뒤바뀐다. 여름철이면 남반구의 먼 바다에서 깨끗한 공기가 불어오는 반면
겨울철
이 되면 바람의 방향이 뒤바뀌어 티베트 고원에서 시작된 공기가 인도를 거치면서 대륙성의 오염된 공기가 불어온다. 몰디브는 깨끗한 공기와 갈색구름을 포함한 오염된 공기를 동시에 연구할 수 있는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빈번했기 때문에 더욱 걱정스러울 수밖에 없다.침수와 해안침식 피해 우려서해 갯벌은
겨울철
에는 직접적인 파도의 공격에 노출돼 파도가 세다가 여름철에는 파도의 영향이 약해지고 조류의 영향이 우세해지는 계절변화가 심한 갯벌이다. 또 퇴적물 공급량이 적기 때문에 서해 갯벌은 해수면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발견했다. 그러나 이들 독특한 생명체는 광범위한 벌목과 채광으로 위험에 처해있다.
겨울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로서 오리온자리 바로 밑 토끼자리 아래였다 노아의 방주에서 날아갔다가 감람나무 잎사귀를 물고 돌아온 비둘기 형상에 비유하며 동쪽에 인접한 아르고자리(현재는 ... ...
집먼지진드기는 춥고 눅눅한 걸 좋아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겨울철
가습기를 틀 때는 집먼지진드기에 유의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람의 각질을 갉아먹으며 사는 집먼지진드기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해충이다.영국 런던대 마셀라 우치 교수팀은 집먼지진드기의 생태를 조사한 결과 이 녀석들이 온도는 낮고 습도는 높은 환경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문제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 문제 또한 심각한 상황. 하지만 별다른 묘수는 없다.
겨울철
영하 15℃에서 도로 표면이 어는 것을 막아주고 여름철 아스팔트가 뜨거운 열에 녹는 것을 방지해주는 특수도료가 나왔다. 동양특수화학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 개발한 이 도료는 ... ...
초음파 가습기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겨울철
따뜻한 건물 안, 그러나 왠지 가슴은 답답하다. 주범은 실내의 너무 낮은 습도 때문. 피부는 물론 눈이나 코, 입의 점막이 마르면서 불쾌감을 더한다. 그뿐만이 아니다. 건조한 공기는 실내 온도를 실제보다 더 차게 느껴지게 하거나 목재 마루나 가구를 손상시킨다. 이쯤 되면 습도를 일정하게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오랜 시간을 거쳐 낮은 구릉 모양으로 쌓여서 형성된 퇴적지형이다. 이 지역은 특히
겨울철
에 강한 북서계절풍이 부는데 약 1만5천년에 걸쳐 사구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충남 해안으로 종종 현장학습을 나온다는 김철회 교사는 “원래는 해변 전체가 잘 발달된 해안사구였다”며 “저렇게 ... ...
더울 때는 열 막는 똑똑한 유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고스란히 통과시키기 때문이다.그런데 최근 여름철의 뜨거운 열기를 차단시킬 뿐 아니라
겨울철
의 따뜻한 열기는 통과시키는 놀라운 유리가 개발됐다. 햇빛의 열기는 적외선 때문이다. 영국 리버풀대의 트로이 매닝 박사와 런던대의 이반 파킨 박사는 29℃보다 높을 때는 적외선을 반사시키고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耐光性)이 약한 점 등의 결점이 있으나 근년에 플라스틱으로서의 용도가 급증하고 있다
겨울철
에서 봄철에 걸쳐 남쪽 지평선 가까이 보이는 별자리 1872년 아르헨티나에서 남천(南天)을 관측한 B A 굴드가 나침반자리를 제창, 1922년 국제천문연합회에서 채용되었다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8h 50m,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