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꼬리"(으)로 총 1,49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조각을 들어내고 발견한 개미의 사진이었다. 그렇게 찾아 헤맸던 바위 틈 개미인 등굽은꼬리치레개미(Crematogaster vagula)였다. 평상시에는 썩은 나무에 주로 살고, 겨울에 주로 바위 틈에서 발견되는 종이다. 이로써 네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해 겨울 개미를 찾는데 성공했다.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많아지면서 이런 얼굴에 더 이상 호감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며 “최근에는 웃을 때 입 꼬리가 올라가거나, 보조개가 들어가는 등 표정을 동적으로 만드는 시술을 받는 사람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고유한 개성을 띤 얼굴도 미인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박사는 “외모보다는 능력이나 이미지로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는다. C가 A를 돕는 광경을 지켜본 D가 C를 돕는 식으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경우도 흔할 것이다). 도덕은 간접 상호성의 그물망간접 상호성은 직접 상호성보다 더 섬세하다. 직접 상호성에서 ‘내가 널 도와줄지는 과거에 네가 날 도와줬는가’에 달렸다. 간접 상호성에서 ...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새들이 진짜 뱀이라 속아 도망가게 만듭니다. ➊ 사탄나뭇잎꼬리도마뱀붙이는 몸통과 꼬리가 낙엽같이 생겨 위장술이 뛰어나다.➋ 바이스로이나비는 맛이 없고 독이 있는 모나치나비의 모습으로 의태해 포식자를 혼란시킨다.➌ 무늬박이제비나비의 애벌레는 뱀인 척 하면서 다른 포식자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아직 밝혀지는 중입니다만, 수정란의 유전물질이 만들어낸 짧은 RNA 하나가 난자의 RNA 꼬리에 붙어서 난자의 RNA를 야금야금 분해시키는 효소를 불러온다는 연구도 있습니다(doi:10.1126/science.1122689). 이 일련의 과정이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기도 전에 일어나는 일이라고 하니 정말 놀랍지 않습니까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포착8월 17일 오후 9시 41분 4초(한국시간), 라이고 중력파 관측소에 약 100초간의 긴 꼬리를 가진 중력파 신호가 포착됐다. 분석 결과, 지구로부터 1억3000만 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발생한 신호였다. 질량이 태양의 0.86~2.26배인 중성자별 쌍성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 중력파로 추정됐다. 공교롭게도 1.7초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비막을 펼쳐 활공하면 보통 한 번에 보통 7~8m씩 날며, 최대 100m까지 날 수 있습니다. 이때 꼬리로 방향을 조절합니다. 날다람쥐가 안정적으로 활공하려면 어떤 힘이 필요할까요? 날다람쥐가 활공할 때 작용하는 여러 힘이 평형을 이룬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럼 중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 ...
- [헷갈린 과학] 꼬리로 구분해요! 불도그 VS 퍼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6~8.5kg인 소형견으로, 불도그에 비해 몸집이 훨씬 작아요. 또 볼 살이 덜 처져 있으며, 긴 꼬리가 등 쪽으로 동그랗게 말려 있는 것도 불도그와 다른 특징이랍니다.머리는 몸에 비해 큰 편이에요. 눌린 듯한 머리 모양 때문에 라틴어로 ‘도끼’라는 뜻의 단어인 ‘퍼그’로 불리게 되었지요. 동그랗고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측정했나주름 측정은 사방이 검은 암실에서 이뤄지는데, 측정 장치에 얼굴을 올려놓고 눈꼬리 부위에 빛을 투사해 그 부위를 촬영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해서 주름의 면적과 깊이 등을 μm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한다. 주름 개선 화장품, 이렇게 작용한다주름 개선 효과가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고개를 흔드는 모습은 피리 소리에 반응하는 코브라의 모습과 유사하다. 공기는 꼬리에 연결된 호스로 공급받는다. 공기를 분사하는 힘은 약 2N(뉴턴)으로 약 20cm 높이의 장애물을 넘을 수 있다. 여기에 로봇의 길이를 늘이고 노즐의 분사력을 높이면 벽도 기어오를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