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d라이브러리
"
미디어
"(으)로 총 1,226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G유플러스 홈
미디어
체험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대로 이뤄주는 인공지능!“여러분은 가장 좋아하는 연예인이 누구인가요?”LG유플러스 홈
미디어
체험관을 설명해주는 박미영 선생님의 질문에 장호은 기자가 ‘송중기’라고 답하자 박 선생님이 인공지능 스피커 ‘U+우리집AI’에게 말했어요.“송중기 나오는 영화 찾아줘.” 그러자 TV 화면에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코딩 로봇 뚜루뚜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동그란 까만 눈, 앙증맞은 안테나, 반짝반짝 빛나는 머리! 그뿐 아니에요. 길도 찾고 노래도 부를 수 있대요! 이 귀여운 친구의 정체는 코딩 로봇 ‘뚜루뚜루’예요. 뚜루뚜루와 함께 섭섭박사님의 코딩 미션에 도전해 볼까요? ...
[매스
미디어
]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프랑켄슈타인이 작품에 등장하는 괴물(피조물)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사람이 많습니다. 흔히 프랑켄슈타인이라는 제목과 함께 괴물이 그려져 있기 때문에 그런 오해가 생긴 거지요. 사실 프랑켄슈타인은 괴물의 이름이 아니라 괴물을 만든 ‘빅토르 프랑켄슈타인’이라는 과학자입니다. 프랑켄 ... ...
[매스
미디어
]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미국 빌보드 톱 소셜 아티스트★ 시상 때 미국 싱어송라이터 캘리 클락슨은 우스꽝스럽게 커다란 귀마개를 끼고 나왔다. 그 모습에 웃던 사람들은 수상자가 호명되는 순간 깜짝 놀랐다. 고막을 찌르는 듯한 환호성에 마이크 소리가 들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세계인을 매료시킨 방탄소년단(BTS)의 비 ... ...
[공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팰컨 헤비’를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어요. 이후 스페이스X 일론 머스크 대표는 소셜
미디어
를 통해 팰컨 헤비를 타고 우주로 날아간 마네킹 운전사 ‘스타맨’을 공개했지요. 현재 스타맨은 태양과 화성 사이 궤도를 계속해서 돌고 있답니다. 한편 지난 2월 8일부터 제주항공우주박물관 3층에 ... ...
[Infographic] 게임 엔진의 진화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첨단 과학의 전쟁터, 게임[Infographic] 게임 엔진의 진화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 ...
[매스
미디어
] 용의자 X의 헌신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히가시노 게이고의 추리소설 ‘용의자 X의 헌신’이 뮤지컬로 돌아왔다. 수학 공식처럼 완벽한 알리바이를 만드는 천재 수학자와 절대 풀리지 않을 것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천재 물리학자의 대결! 그들이 벌이는 치밀한 두뇌 싸움이 무대에서 펼쳐진다. 그날도 여느 때와 다름없는 평범한 날이 ... ...
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미국 알라바마 오번대학교 자연사박물관에서 연구교수로 일하는 스틴 박사가 종종 소셜
미디어
에서 뱀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보았거든요. 그러자 다음날, 스틴 박사는 다니엘라의 질문에 “(한숨) 네. 뀌죠.”라고 대답해 주었답니다. 두 사람의 대화를 본 사람들은 그때부터 평소 궁금했던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잘 결합해 제어하는 것입니다. 쉬운 일은 아닙니다. 휴 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
랩 교수는 2014년 세계적 지식강연인 테드(TED)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기계장치를 신체에 붙이는 방법을 모른다. 가장 성숙하고 오래된 기술 중 하나인 신발 때문에 오늘날에도 발에 물집이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갑자기 픽 쓰러져 잠을 자는 환자는 상위 1% 안에 들 만큼 희귀합니다. 전문가들은
미디어
가 만든 이런 이미지 때문에 기면증 환자들이 병원에 오지 않는다고 우려합니다. 졸린 증상 때문에 아무리 고통스러워도 ‘나는 저 정도로 쓰러져 잠을 자지는 않으니까 기면증은 아니겠지’라고 생각하는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